[기고] 2차전지용 광물 70% 몰려 있는 아프리카와 협력 확대해야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2024. 7. 28. 23: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아프리카 정상들이 지난 6월 4일 경기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대통령실

지난 6월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 회의’는 국제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소집 능력(convening power)’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아프리카의 유엔 회원국 54국 가운데 초청한 48국이 모두 참석했고, 이 중 33국이 정상급 인사를 파견했다.

‘동반 성장·지속 가능성·강한 연대’라는 핵심 키워드에 걸맞게 경제동반자협정(EPA)을 비롯한 여러 통상 협정이 추진됐다. 또 에너지, 광물자원, 제조·인프라 등 분야에서 23국과 47건의 계약 및 업무 협약(MOU)을 체결, 추가 진행 중이다. 양측의 상호 연대를 상시화하기 위한 경제협력위원회도 상설됐다. 지속적 협력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우리는 풍부한 자원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인구를 바탕으로 국제 질서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아프리카·동남아시아·중남미 120여 국)’를 주목해야 한다. 아프리카는 이미 글로벌 사우스의 굳건한 중심으로 발돋움했다. 아프리카연합(AU)은 대륙이 함께 움직이는 거대한 협력체가 됐다. AU는 작년에 G20의 정회원이 됐으며, 최근에는 브릭스(BRICS)에도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도 아프리카자유무역지대(AfCFTA)를 통해 14억 인구, 3조4000억달러 규모의 거대 시장까지 구성했다.

선진국들은 향후 국제 질서의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아프리카를 끌어당기려는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이번 정상 회의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아프리카를 든든한 우군으로 삼았다는 걸 의미한다. 또한 한국의 강력한 외교적 자원이 될 것이다. 이런 노력은 주요국 중심 외교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와 인권 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 스스로 국제사회에서 새로운 대화 분위기를 조성해 한반도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도출할 수 있다.

아프리카는 세계 광물의 30%가 매장된 자원의 보고다. 수요가 급증한 2차전지 관련 핵심 광물의 약 70%가 아프리카에 부존돼 세계 각국이 핵심 광물 부문 진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2022년 6월 광물안보파트너십(MSP)을 구성해 핵심 광물 공급망 취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일본도 고위급 회담, 투자 협정, 광물 협력 MOU를 체결하며 핵심 광물 중심의 외교를 수행 중이다. 중국은 2010년대에 이미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통해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광물 외교를 진행해 왔다.

전 세계 매장량 기준 리튬 89%, 크롬 80%, 망간 61%, 코발트 52% 등 다양한 핵심 광물과 자원이 부존된 땅, 아프리카와의 협력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특히 한국은 산업용 광물의 약 95%, 2차전지 핵심 6대 광물(리튬·니켈·코발트·희토류·흑연·백금족)의 수입은 70% 가까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기에, 이번 정상 회의는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핵심 광물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시작이다.

대개 선진국은 아프리카에 대해 자원 중심의 접근을 취하며 식민주의적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는 이 국가들과 차별화돼야 한다. 6·25전쟁, 경제 성장, 민주화 등 한국의 역사적 경험에 대한 아프리카의 우호적 공감대와 K컬처로 확산된 긍정적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프리카가 마주한 기후 위기 등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의 비교 우위 기술인 IT·스마트 기술을 활용하며 상생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수도 있다. 아프리카와의 협력 강화는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기회다. 우리가 ‘글로벌 중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이기도 하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