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인 일상, 그 안에 담긴 불안과 위태로움[김영민의 본다는 것은]
시테렌베르크의 정물화… 고독하고 불안해 보이는 레몬
이성복 시 연상시키는 수박 그림… 아침 식사 장면엔 위태로움과
일상 사는 보통 사람 결단 읽혀
야심이 있었다 해도 그 야심은 정치적 야심은 아니었던 것 같다. 시테렌베르크는 정치적 이미지가 포화 상태였던 시대를 살았지만, 정치 선전화와 거리가 먼 그림을 그렸다. 그가 천착했던 장르 중 하나인 정물화를 살펴보자.
‘정물화’를 채우고 있는 선들도 이 불안감에 일조한다. 벽에서 내려오는 선은 식탁보의 선과 어떤 식으로도 유의미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 특히 모서리를 보라. 식탁보의 선은 벽면의 선과 의도적일 만큼 엇갈린다. 게다가 식탁보는 일부러 평면이 아닌 것처럼 기운 듯 그려졌다. 레몬은 이 엇갈리고 기울어진 환경에 불시착한 외눈박이 괴물의 눈알처럼 보인다.
이성복의 시를 따라서 ‘수박이 있는 정물’을 해석하면, 이 그림은 정물화보다는 생활의 단면을 포착한 풍속화처럼 보인다. 이성복은 그 풍속을 물난리에 비유했다. ‘그것은 어느 여름 어른들이 겪었다던 물난리 같은 것일까? 질퍽하고 구질구질한 난장판 같은 것일까? 아버지의 작업복을 기워 만든 걸레로 마룻바닥을 훔치며 어머니는 바닥 여기저기 묻어 있는 수박물을 볼 것이다. 벌건, 그러나 약간은 어둡고 끈끈한 수박물을…왠지 쓸쓸해지기만 하는 어떤 삶을…’ 그러나 시테렌베르크가 포착한 생활은 장마철 물난리와는 다른 종류의 쓸쓸함을 머금고 있다.
그런데 어째 그들은 위태로워 보인다. ‘수박이 있는 정물’에서처럼 칼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일까. 바게트의 잘린 단면을 볼 때, 이 칼은 이미 수박을 베듯 빵을 베어버린 것이 틀림없다. 그에 그치지 않고 칼은 날카롭게 남녀를 향하고 있다. 손잡이가 남녀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기에, 그 칼은 그 남녀의 도구라기보다는 독립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타자로 보인다. 언제든 남녀를 상처 낼 수 있는 흉기의 모습으로 보인다. 그런 불안감은 칼 밑에 깔린 흰 천 때문에 증폭된다. 흰 천도 불안하다. 언제라도 바닥으로 흘러내릴 것 같다. 흘러내리고야 말 흰 천 위의 칼은 그만큼 유동적이다. 흰 천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순간 칼은 남녀를 향해 날아갈지도 모른다.
마지막 미스터리는 남자의 왼손이다. 남녀의 손들이 드러나 있지만, 남자의 왼손만큼은 탁자 아래에 감추어져 있다. 이 역시 불안을 증폭한다. 이 남자의 왼손이 식탁 위로 올라왔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질 것인가. 과일을 건네는 여자의 바람대로라면 그 왼손은 과일을 선뜻 받아 쥐어야 할 것 같은데, 남자는 끝내 망설인다. 아담과 이브를 그린 그림들이 선악과를 받아 드는 아담을 그려왔다면, 이 그림은 노동을 위한 음식 앞에서 주저하는 아담의 후예를 그린다. 그는 선악과를, 아니 일상의 양식을 과연 받아 들 것인가, 그렇게 주린 배를 채우고 또 하루를 시작할 것인가. 오늘도 변함없이 하루를 살아내야 하는 보통 사람이 직면하는 결단의 순간이 여기에 있다.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양궁 女단체 ‘금금금금금금금금금금’ 10연패
- [천광암 칼럼]말 따로 행동 따로, 이재명의 빈껍데기 ‘먹사니즘’
- ‘샛별’ 오예진-‘엄마 총잡이’ 김예지 동반 金-銀… 한국 사격 일냈다
- 4일째 필리버스터에도… 野, 방송법 한밤 처리-오늘은 방문진법
- [단독]檢, ‘국정원 산하 전략연 특혜 채용’ 서훈 비공개 조사
- 티몬의 큐텐그룹 계열 4곳, 누적 손실액 2조5811억원
- 한번 땀이 나면 잘 멈추지 않고 땀이 나는 부위가 정해져 있다.
- [월요 초대석]“과거 제도에 사람 끼워 맞추는 저출산 정책, 삶의 질 악화시킬 뿐”
- 사도광산 ‘조선인 노동자’ 전시관, 강제동원-사과 문구 없어
- 최경주, 한국인 최초 시니어 메이저 대회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