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 들어설 최적지는 김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가야고분군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공식 기구의 최적지는 경남 김해시라는 용역 결과가 나왔다. 경남·경북·전북에 걸쳐 있는 가야고분군은 작년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28일 경남도 등에 따르면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통합관리지원단(통합관리지원단)은 지난 26일 ‘통합기구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 용역’ 결과를 각 지자체에 전달했다. 용역 결과 통합기구 설립 입지 1순위는 김해시로 나타났다고 한다. 김해는 초기 가야인 금관가야의 중심지다.
통합관리지원단은 가야고분군이 있는 경남·전북·경북 등 광역자치단체 3곳, 남원시·김해시·함안군·창녕군·고성군·합천군·고령군 등 기초지방자치단체 7곳 등 총 10곳이 공동으로 설립한 기구다. 용역은 재단법인 한국지식산업연구원이 지난해 7월부터 진행했다.
용역 결과에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김해 금관가야는 고대 가야 문명의 발원지라는 상징성이 있다”면서 “경남에 통합관리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지난 2018년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발표한 ‘가야유적 분포 현황 및 보존 관리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가야 유적 2495건 중 67%인 1669건이 경남에 분포한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 7개 중 5개가 경남에 있다.
또 경남과 김해에는 가야 관련 기관들이 모여 있어 시너지도 기대된다. 가야문화유산연구소(창원), 국립김해박물관(김해), 오는 9월 개관 예정인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김해)가 있다. 특히 경남도는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에 통합관리기구가 입주 가능한 만큼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강점으로 꼽는다.
경남도 관계자는 “경남 18개 시·군 전역에 가야유적이 발견되는데, 경남의 정체성이 곧 가야다”며 “국민 정서나 역사문화정비법으로 봐도 신라는 경북, 백제는 충청·전북인데, 경남은 가야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여러 지역에 걸쳐 있는 연속유산이다. 이에 세계유산위원회는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면서 “구성요소(7개 고분군) 전 지역에 대한 홍보 전략 개발과 통합 점검(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권고했다. 가야고분군을 제대로 보전·관리하면서 체계적으로 홍보할 통합기구 설치 필요성이 제기됐다. 그러자 가야고분군을 둘러싼 지역 간 주도권 싸움도 본격화됐다. 특히 경북 고령과 경남 김해가 통합기구 유치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통합관리기구의 최적 입지는 경남 김해라는 용역 결과가 나왔지만, 실제 입지 최종 결정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우선 통합관리기구 입지 결정은 각 지자체 합의에 따르게 돼 있다. 오는 8월 초 예정된 10개 지자체 간 협의 간담회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경남도는 “간담회 전까지 지자체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용역 결과를 두고 경북 고령군의 반발이 터져 나온 상태다. 고령군은 28일 자료를 내고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용역을 진행한 한국지식산업연구원은 통합관리기구 입지 선정 지표로 ‘인구 규모’ ‘지방세 규모’ ‘지역 총생산’ ‘인구 증가율’ ‘재정 자립도’ ‘인구 밀도’ ‘관리 이동거리’ 등 7가지를 활용했다. 통합관리기구 설립 초기부터 충분한 지원과 협력이 가능한 지역이 우선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령군에서는 이 같은 지표가 “규모가 큰 김해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평가”라며 용역 진행 과정에서부터 의구심을 나타낸 바 있다. 작년 말 기준으로 김해 인구는 53만명, 고령 인구는 3만명으로 차이가 크다. 인구 규모만큼 재정자립도 등 경제 지표에서도 차이가 난다. 경북도와 고령군은 용역 중간·최종보고 과정에서 이 같은 입지 선정 지표에 대한 보완 요청을 했고, 6월 말까지 용역이 중단됐다.
하지만 연구원 측은 지자체의 추가 의견 수렴,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신규 지표 추가는 불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용역 결과를 각 지자체에 통보했다. 연구원 측은 “세계유산의 보존과 관리가 잘 지원되고, 재정적인 규모도 있는 지역에 있어야 통합관리기구가 전 지역에 대한 통합관리에 힘을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했다.
경남도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 그대로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국회를 방문해 기구 설치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지원을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가야고분군 연속유산의 체계적인 보존·활용 시스템을 구축해 전 세계인이 가야고분군 세계유산의 가치를 향유 할 수 있도록 통합관리기구의 조속한 설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식산업연구원은 통합관리기구의 설립 형태로 10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출연한 독자적인 재단법인 형태가 적절하다고 제시했다. 조직·인력 규모는 1국(사무국·1명), 1실(기획협력실·3명), 3팀(경영관리팀·교육홍보팀·보존연구팀 11명) 등 15명이 적절하다고 했다. 운영비는 내년 기준으로 28억 원에서 매년 늘어 통합기구가 안정화될 때쯤인 2030년에는 38억 원 정도가 들 것으로 예상했다. 지자체가 분담해야 할 금액은 약 2억 원~2억5000만 원 규모로 봤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