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햇살에 수줍음 타는 보라빛 향기,비비추꽃[정충신의 꽃·나무 카페]

정충신 기자 2024. 7. 28. 08: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꽃말은 ‘하늘이 내린 인연’‘신비한 사랑’
배배 꼬이고 엉킨 세상 표현하는 식물
꽃이 빛을 따라 반대로 각도 바꾸는 反向日性
옥으로 만든 비녀 ‘옥잠화(玉簪花)’와 사촌격 ‘자옥잠(紫玉簪)’ 별칭도
비비추 꽃은 신비의 보라빛 꽃색이다. 여성미를 더해 여왕의 이미지다. 7월23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한여름 낮에/사방에 피어난 꽃들을 가만 바라봤어요/벌개미취도 보라색이고/비비추도 보라색이고/도라지도 보라색이고//이렇게 보라가 흔하다니요/한두 송이만 피어도 좋을 텐데/무더기, 무더기로 피어//꽃 이야기나 하려고 합니다

/산이 무너지고/터널이 무너지고/먼 나라에서 일어난 전쟁으로/라면값 따위가 올라도/죽는 것은 내가 아니므로//보라색 꽃이나 말하려고 합니다/무더기로 피어난 보라색 꽃들 앞에서/미안한 줄도 모르고>

임후남 시인의 ‘보라색 꽃들 앞에서’다.

여름꽃 중에는 보라빛 향기를 뿜어내는 벌개미취, 도라지꽃도 있지만 아파트나 도심 정원에 군락을 이뤄 피는 비비추가 가장 눈에 띈다.

쌈 싸먹기 안성맞춤인 듯한 큼직큼하고 시원시원한 푸른 잎사귀에 멋진 무늬도 들어온다. 기품있는 자태와 보라빛 향기의 꽃, 더군다나 비비추는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여름 정원 화단, 반그늘 또는 직사광선에서 잘 자란다. ‘그늘정원(shade garden)’에서 빼놓을 수 없는 꽃이 비비추다.

야생화 비비추는 원예용 화초로 개량돼 도심 정원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연한 자주색 또는 보라색으로, 꽃대 길이기 30~40cm로 늘씬하다. 서울역사박물관 정원.

순수 우리말 이름인 비비추 유래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정설이 무엇인지 확인된 바는 없다.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은 입 모양이 비비듯이, 잎을 손으로 비벼서 씻어낸 듯하다는 것으로, ‘비비 틀면서 나는 풀’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봄에 새싹이 돋아날 때 ‘비비’ 꼬이면서 튼실하게 올라오고, 꽃이 줄기를 따라 ‘빙빙’ 돌면서 핀다는 것에 착안하고, 식용나물을 통칭하는 ‘취’와 합쳐서 ‘비비취’가 되고 다시 ‘비비추’로 정착됐다는 설이다.

두번째, 바람에 흔들리며 피는 저울 ‘추(錘)’라는 설도 있다. 참비비추, 주걱비비추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세번째, 꽃대가 끝에 뭉쳐 피니 우두머리 추(酋)라는 설이다. 일월비비추가 여기에 적합하다. 해와 달의 일월이 왕을 상징하는 일월(日月)이 붙어 우두머리의 위엄과 권위의 상징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신비의 보랏빛 꽃색도 여성미를 더해 여왕의 이미지다. 영국왕실의 색이 보라색이다.

빨강과 파랑이 합치면 보라색이 된다. 빨강과 파랑은 서로의 속성은 달라도 같은 목표로 향한다. 빨강색은 정열적이면서 진취적이고 공격적이며 목적을 위해 돌진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그에 비해 파랑색은 폭력 없는 저항, 인내, 긴 호흡을 통해 목표달성에 이르는 색이라고 한다. 목표에 이르는 길은 각자 다르지만, 두 색은 궁극적으로 같은 결과를 이루려 한다는 설명이다. 보라색은 통찰력,직관력, 자존심, 우아함과 품위를 상징하는 개성있는 색이라 한다 .

비비추 꽃부리는 끝이 6개로 갈라져서 열편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서울역사박물관 정원에서

비비추는 백합목 백합과 비비추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한다.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엽, 관화식물

비비추의 사촌격인 옥잠화(玉簪花)는 새하얀 꽃몽우리 생김새가 ‘옥으로 만든 비녀’를 빼어닮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이 둘을 합쳐 서양에서는 호스타(Hosta)라 부른다. 비비추 집안 전체를 지칭하는 속명이기도 하다.

비비추 즉 호스타 속 식물들에는 특기할 만한 집안 내력이 있다. 하나는 ‘그늘 적응 능력’이고 다른 하나는 꽃이 빛을 따라 반대로 각도를 바꾸는 ‘반향일성(反向日性)’이다.

식물이 음지에 적응하기 위해 두가지 방법을 동원한다고 한다. 하나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잎 면적을 가급적 늘리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약한 빛으로도 광합성 공장이 돌아갈 수 있도록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을 낮추는 것이다.

공장 가동을 위한 최저 전력이 ‘광보상점’인데 식물마다 다르다고 한다. 광보상점이란 식물의 광합성량이 호흡량과 정확히 일치하는 점의 광도를 일컫는다. 광보상점에서는 광합성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과 호흡(광호흡과 세포 호흡)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방출량이 같아지며, 호흡에서 비롯된 산소의 흡수량과 광합성의 결과로 방출되는 산소의 양이 같아진다.

해바라기처럼 잎과 줄기가 빛이 있는 쪽으로 고개를 돌리거나 구부러지는 것은 모든 식물들에게 있어 공통된 본능이다. 광합성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그런데 꽃이 빛을 덜 받는 쪽으로 움직이는 것은 흔치 않다. 여름꽃인 비비추 나리 원추리 능소화 등은 꽃대롱이 나팔처럼 길어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꽃 내부가 찜통이 돼 버린다. 이를 막기 위해 스스로 꽃의 각도를 조절해 마치 파라솔 같은 역할을 한다. 이게 반향일성이다.

비비추 잎은 재배채소처럼 연하고 향긋하며 매끄러우면서도 감칠맛이 나는 산나물같지 않은 산나물이다. 산나물의 쓴맛이나 떫은 맛, 억센 섬유질 등의 단점이 되는 특성이 하나도 없다.

새 봄에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데 구례에서는 ‘지보나물’이라 한다. ‘땅 지(地)보물 보(寶)’ 즉, 땅의 보물이라 여겨 붙여진 이름 같기도 하다. 봄에 새순을 데쳐 비벼서 거품을 없애고 무쳐 먹거나, 된장국으로 쓰인다.

산지의 냇가에서 자란다. 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나 비교적 부식질이 풍부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도 난 애호인구 못지 않게 비비추 매니아층이 두텁다고 한다. 무늬의 변이가 특이한 희귀종은 억대를 호가할 정도로 큰 시장이 형성돼 있다. 비비추 종류로는 일월비비추, 좀비비추, 제주좀비비추, 주걱비비추(참비비추), 무늬비비추, 옥잠화 등이 있다.

새하얀 꽃몽우리 생김새가 ‘옥으로 만든 비녀’를 빼어닮았다는 옥잠화(玉簪花)와 사촌격인 비비추는 자색 옥잠화란 뜻에서 자옥잠(紫玉簪)이라고 불린다.

일월비비추 전설도 행복한 결말이다. 신라에 설녀라는 처녀가 아버지 대신 군대 간 청년을 기다렸지만 무심한 세월만 가고 소식이 없었다. 다른 남자에게 시집 가라고 했지만 비비추꽃이 질 때까지만 기다린다고 했다.

꽃이 지고 피기를 몇 년을 반복하고서야 청년이 돌아왔고 둘은 행복하게 잘 살았다고 한다. 가슴 뭉클한 해와 달의 사랑 이기에 ‘신비한 사랑’ ‘하늘이 내린 인연’이라는 꽃말이 있다.

옥잠화와 유사하게 비비추 꽃은 ‘紫玉簪(자옥잠)’이라고 하고 뿌리인 根莖(근경)은 ‘紫玉簪根(자옥잠근)’ 잎은 ‘ 紫玉簪葉(자옥잠엽)’이라고 하며 약용으로 쓴다.

꽃·사진=정충신 선임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