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가 궁전…물 사먹는 나라 처음” 탈북 노부부의 일상

임정환 기자 2024. 7. 27. 20: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대형마트를 처음 방문한 탈북한 노부부가 감탄을 금치 못하는 모습이 온라인에서 화제다.

이들 부부는 "마트에 와보면 안이 궁전 같다"면서 "물 사 먹는 나라 처음 봤다"며 입을 다물지 못했다.

27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탈북 후 처음 간 OOOO(대형마트)에서 문화 충격에 빠진 노부부'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노부부는 손주의 분유와 생필품을 구매하기 위해 대형마트로 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캡처

한국의 대형마트를 처음 방문한 탈북한 노부부가 감탄을 금치 못하는 모습이 온라인에서 화제다. 이들 부부는 "마트에 와보면 안이 궁전 같다"면서 "물 사 먹는 나라 처음 봤다"며 입을 다물지 못했다.

27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탈북 후 처음 간 OOOO(대형마트)에서 문화 충격에 빠진 노부부’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게시글에는 지난 2022년 9월 탈북 여성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강은정TV’에 올라온 영상이 갈무리돼 있다.

영상에서 노부부는 손주의 분유와 생필품을 구매하기 위해 대형마트로 향했다.

난생처음 대형마트에 와본 부부는 주변을 둘러보며 눈이 휘둥그레 진다. 남편은 종류별로 잘 정리된 다양한 제품들을 보며 그는 "다 어린이들을 위한 용품이냐. 인삼 봐라. 참치도 뭐 고추참치, 기름도 뭐 수십 종이다. 한국엔 먹을 게 너무 많다"라며 놀라워했다.

남편은 "북한 같으면 캄캄한데 전등 보라. 정말 한국에 와서 물 사 먹는 거 봤다. 하긴 북한에서도 물 사 먹는다. 양동이로 물 담아 다니고. 여행 다닐 때 기차가 하도 멀리 다니니까. 오래 가니까. 목마르잖아. 그러니까 역전마다 물 장사꾼들이 양동이에다가 물들고 팔러 다니곤 한다"라고 했고 아내는 "그때 10원 했으니까 지금은 뭐 5000원 하겠지"라고 답했다.

딸이 "시장이랑 마트 왔을 때 어땠나"라고 묻자 남편은 "시장에 가면 별거 다 있고 아래로 올라가고 위로 올라가 봐도 다 흐뭇하다 풍요롭고. 근데 마트에 와보면 안이 궁전 같다. 다 고급스러워 보인다. 내가 이런 데 와서 뭘 사가는구나 하는 게 참 행복하다"고 설명했다.

고기를 보면서는 "한국 마트를 보게 되면 수준을 얼마든지 알 수 있잖아. 이거 얼마나 행복한 나라야. 정말 잘 사는 나라고. 잘 사는 나라의 표징이다. 진짜다. 마트 하나만 보고도 이 나라가 얼마큼 산다는 걸 평가할 수 있겠다"라고 했다. 아내 역시 "생활 수준이 기막히게 높다"고 말했다.

남편은 아내를 향해 "우리 마누라 한국 와서 팔자 폈네. 먹고 싶은 거 다 먹고. 먹고 싶은 거 또 뭐 있나. 또 사라"라고 했고, 아내는 "내 팔자 이럴 때나 좀 펴봐야지. 가다가 또 보면 또 먹고 싶은 게 있지"라고 말했다.

남편은 "야, 또 쌀이네. 북한 인민들은 쌀이 없어서 굶어 죽는다는데 여기는 쌀이 풍년이니"라고 말했다. 아내는 "가격도 저렴하잖아. 얼마나 생활하기 좋아"라고 말했다.

이들 부부는 북한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남편은 "북한도 (체제를) 좀 바꾸면 대한민국처럼 이 정도는 못해도 3분의 1만 살아도 괜찮겠는데 가슴 아프다. 개혁 개방으로 좀 바꾸면 잘 살겠는데 굶어 죽지 않고 배는 안 고프겠는데"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저 노부부 모든 것에 엄청나게 감사하며 살더라", "쌀 포대가 제일 씁쓸할 듯. 쌀은 목숨이랑 직결되는 거라 저게 없어서 굶어 죽는 사람들 생각날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임정환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