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년의 멋쟁이 울엄마와 함께 한 ‘최첨단 소재’ 이어…이젠 혁신 지게차 파는 ‘이 회사’ [떴다 상사맨]

김희수 기자(heat@mk.co.kr) 2024. 7. 27. 14: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희수 기자의 떴다 상사맨 13회]
돈 되는 비즈니스를 찾아라! 오지부터 마천루까지 세계를 휘젓다 사업 최전선을 달리는 종합상사 이야기
경기 과천시에 위치한 코오롱타워.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이 입주해 있다. [사진 제공=코오롱]
섬유를 유통하는 상사로 시작해 기업집단으로 거듭난 곳이 있습니다. 바로 코오롱인데요. 이름부터 한국을 뜻하는 코리아(Korea)와 섬유의 일종인 나일론(Nylon)의 합성어(KOLON)죠. 이번 떴다 상사맨은 코오롱글로벌의 상사부문을 소개합니다.
나일론 독점판매로 태동
이동찬 코오롱그룹 선대회장. 이원만 코오롱 창업주의 장남으로 1960년부터 개명상사 대표를 맡았다. 맏아들이 이웅렬 코오롱 명예회장이다. [사진 제공=코오롱]
코오롱그룹은 1954년 개명상사의 설립과 함께 시작됐습니다. 나일론을 일본에서 한국으로 수입하는 회사였죠. 나일론은 합성섬유의 대표격으로 질기고 마모가 잘되지 않습니다. 194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해 스타킹·의류 등에 주로 쓰였습니다. 개명상사가 문을 연 한국전쟁 직후면 최첨단 소재에 해당하는 셈입니다.

코오롱은 1958년 나일론 생산공장을 준공하며 단순 유통사에서 제조업까지 갖추게 됩니다. 1960~1970년대 섬유산업의 본격적인 성장기가 오자 개명상사도 그룹과 함께 덩치를 키웠습니다. 1968년 코오롱상사로 이름을 바꾸고 1971년에는 일본 오사카, 홍콩, 미국 뉴욕에 해외지사를 차렸습니다. 1988년에는 수입차 사업을 시작하기도 합니다. 수입차 부문은 현재 코오롱오토모티브로 분할됐으며, BMW·아우디·볼보·지프 등 유명 완성차 업체 여럿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금의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은 2011년 출범했습니다.

섬유산업 미래 아라미드…“주춤해도 좋아”
코오롱그룹의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국내에서 생산하는 파라계 아라미드 원사 제품. [사진 제공=코오롱]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은 그룹 계열사가 생산한 제품의 해외시장 개척을 맡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 화학섬유업계에서는 아라미드가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데, 이 역시 유통 중이라고 하네요.

아라미드는 가벼운 무게에도 강철의 5배에 달하는 높은 강도와 섭씨 500도의 고온에도 타지 않는 성질을 가져 이른바 슈퍼섬유로 불립니다. 파라계와 메타계로 나뉘며 각각 내구성·내열성 중 하나에 더 강점이 있죠. 국내 기업 중 코오롱과 효성은 파라계, 도레이첨단소재와 태광, 휴비스는 메타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실적은 주춤하는 모양새입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4년 아라미드 수출액은 5월까지 9532만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1억1919만달러) 대비 20% 줄었습니다. 2022년 2억7349만달러를 정점으로 2023년 2억4734만달러에 그쳐 1년새 9.6% 감소한 아라미드 수출 시장이 더욱 위축됐습니다.

최근 국내업계는 미래 시장 확대를 전망하고 증설까지 마쳐 타격이 큽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12월 경북 구미공장의 아라미드 생산능력을 기존의 두 배인 1만5310t으로 증가시켰습니다. 투자 금액은 2989억원에 달합니다. 태광산업 역시 1450억원을 들여 울산공장의 생산능력을 내년까지 1500t에서 5000t으로 늘리는 증설을 진행 중입니다. 효성첨단소재는 2021년 612억원을 투자해 울산공장 증설을 완료했습니다. 현재 생산능력은 연간 3700t입니다.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은 수출 감소에도 문제없다는 반응입니다. 코로나19 시기 활황의 기저효과로 수출 실적이 주춤하고 있는 것이지 장기적인 성장세는 지속 중이라는 설명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당시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늘어났던 글로벌 통신망 확충 수요가 엔데믹으로 줄어들었습니다”라며 “광케이블 관련 매출이 줄었지만 타이어코드 등 다른 제품으로 꾸준히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BYD 전기 지게차 팝니다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이 국내에서 유통하는 BYD의 전기 지게차. [사진 제공=코오롱]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은 그룹 계열사 제품 외에도 여러 트레이딩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상사업계의 효자 상품인 철강도 그 중 하나입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기업 제품뿐만 아니라 외국 회사의 철강도 유통 중이라고 하네요.

주목할 만한 사업은 중국 BYD·항차의 전기 지게차를 국내에 들여오는 건입니다. 판매와 함께 유지보수도 한다고 하네요. 전기 지게차는 탄소배출이 없는 친환경 지게차로, 중국산은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하는 등 가격경쟁력이 뛰어납니다.

최근 4대그룹 (삼성·SK·현대차·LG) 사장급 인사로부터 인상깊은 말을 들었습니다. 그는 “해외 활동에 전념해보니 국내 기업의 신시장 개척이 1990년대에 머물러 있었습니다”라며 “아프리카에 일본 자동차만 다니는 것을 보고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떴다 상사맨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사업 발굴에 열중하는 상사맨을 다루면서 4대상사(포스코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 삼성물산, 현대코퍼레이션) 외 또 다른 상사에 대해서는 등한시했죠. 이번 코오롱글로벌 상사부문처럼 앞으로는 떴다 상사맨의 외연을 보다 확장하겠다고 약속드리면서 글을 마칩니다.

짧은 요약

1. 일본에서 나일론을 수입하는 상사로 시작한 코오롱그룹

2. 이제는 국내 화섬업계 대표 기업집단으로 성장

3. 코오롱그룹의 모태인 상사부문 역시 코오롱글로벌로 존속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