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취약계층 집 수리에 힘 모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2022년부터 57가구에 대한 집수리를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는 '주거 안심 동행 민관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취약계층 가구의 단열·방수·도배·장판 교체 등을 진행해 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2022년부터 57가구에 대한 집수리를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는 ‘주거 안심 동행 민관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취약계층 가구의 단열·방수·도배·장판 교체 등을 진행해 왔다. 시가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지원 가구를 선정하고 민간기업 등 27개 단체에서 공사비 후원과 맞춤형 집수리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올해도 50가구를 목표로 사업을 이어간다. 우선 올해 후원금 1억5000만 원을 지원한 서울보증보험과 함께 노인·장애인 등 주거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17가구에 대한 공사 현장 실측에 나섰다.
집수리 공사 중에는 이사업체에서 무료 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한수납정리협회를 통해 짐 정리 컨설팅도 지원한다. 민간기업에서도 임직원이 직접 시공과 자원봉사 활동에 나서는 등 주거 취약 가구의 생활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은 “주거환경이 열악한 반지하 등에 거주하는 주거 약자를 위해 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연계해 주거환경개선사업을 계속 추진해 나가면서 짐 정리 자원봉사나 정리 컨설팅 등 주거생활 안정에 필요한 지원도 함께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진호 기자 jin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채 상병 특검법’ 또 부결로 폐기…野 “3번째 법안 발의할 것”
- 상속세 자녀공제 5천만→5억으로… 최고세율도 10%p 내린다
-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홍철호 정무수석 254억 재산 ‘최다’
- [사설]2분기 마이너스 성장… 석 달도 못 넘긴 “교과서적 성장”
- “꼬투리 잡힐까 긴장하며 살았다”…법정서 울먹인 김혜경
- ‘열커튼’에 덮인 한반도…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더위” 온다
- 한번 땀이 나면 잘 멈추지 않고 땀이 나는 부위가 정해져 있다.
- 트럼프 “김정은이 미국을 어린애로 보고 있다”
-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 野 탄핵안 발의에 표결 전 자진사퇴 가닥
- 여자 핸드볼, ‘최약체’ 평가 딛고 독일 상대 첫 승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