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음식점은 풀렸는데… 대기업 빵집은 여전히 '울상'
[편집자주] 지난 6월 동반성장위원회가 가맹점 출점 규제 대상에서 음식점을 제외하면서 오는 8월 만료되는 제과점업 상생협약에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대기업 제과점이 규제에 묶여 있는 동안 제과제빵 시장 상황이 변화한 까닭이다. 동네 빵집의 영업이익이 대기업을 앞서는가 하면 커피 프랜차이즈, 편의점, 대형마트의 디저트 부문도 성장하고 있다.빵을 팔고 있다. 협약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의견과 함께 대기업 역차별이라는 주장까지 나온다.
동반위는 지난 11일 중소기업 등과 제과점업의 대·중소기업 상생협약 관련 회의를 했다. 지난달 27일에 이어 두 번째 회의다.
제과점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 출점이 제한된 건 2013년이다. 동반위는 2019년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이 만료되자 대한제과협회와 대기업을 불러 모아 출점 제한 관련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상생협약을 맺은 기업은 ▲SPC파리크라상 ▲CJ푸드빌 ▲롯데제과(롯데웰푸드) ▲신세계푸드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이랜드이츠 ▲대우산업개발 ▲하나호텔앤리조트 ▲홈플러스홀딩스 등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 프랜차이즈는 신규 출점 시 중소형 제과점과 최소 500m의 거리 제한을 둬야 한다. 신규 점포는 직전 연말 기준 점포 수의 2% 이내에서만 가능하다.
━
제과제빵 시장 변화는 이뿐만이 아니다. 대형마트, 편의점, 커피전문점, 온라인 플랫폼 등으로 유통 채널이 늘어났다. 대전 성심당처럼 대기업의 영업이익을 훌쩍 뛰어넘는 동네 빵집도 등장했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기호가 달라졌다. '빵지순례'라는 말이 생길 만큼 유명 제과점을 직접 찾아가는가 하면 편의점 협업 메뉴가 출시되면 전용 앱(애플리케이션)으로 예약해서 구입할 정도로 소비 행태가 다양해졌다.
━
프랜차이즈는 폐점률도 낮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평균 외식업 폐업률은 21.5%다. 반면 공정위 가맹사업정보를 살펴보면 제과업 프랜차이즈 폐업률은 2~5%대에 불과하다. 평균 수명은 10년 이상이다.
업계에서는 K푸드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서도 대기업의 제과제빵산업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요즘처럼 K푸드가 세계에서 주목받는 시기에 K베이커리 브랜드를 육성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해묵은 규제를 풀고 자율 경쟁 환경을 조성해 제과제빵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 강화를 끌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EO열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초격차' 기반 다진다 - 머니S
- "상반기 잘했다" 삼성바이오, 업계 첫 연매출 4조 '성큼' - 머니S
- 카카오뱅크, '김범수 리스크'에 롤러코스터… 한투證 인수 이슈 '시끌' - 머니S
- 실적 꺾인 건설기계 '빅3'… 전방 수요 둔화에 '주춤' - 머니S
- "궁금했던 주택청약의 모든 것 '여기' 있어요" - 머니S
- [S리포트] "요즘 누가 프차 빵집 가나요"… 확 바뀐 제과 지형도 - 머니S
- [헬스S] '삶의 질 저하' 두경부암… '이 사람' 발병 위험 크다 - 머니S
- [단독] 페이코 "티몬캐시 전환한 페이코 포인트 사용 가능" - 머니S
- [CEO열전] 서정진 회장, 셀트리온 '글로벌 톱10'으로 키운다 - 머니S
- [오늘 날씨] 폭염 기승부리는 '중복'… 전국 곳곳 소나기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