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동네 빵집 vs 대기업 빵집, 10년 지나도 팽팽한 신경전

김서연 기자 2024. 7. 25. 06: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리포트-10년 묵은 빵집 출점제한] ①강산도 변한다는 10년… 대기업 빵집 출점 '촉각'
[편집자주] 지난 6월 동반성장위원회가 가맹점 출점 규제 대상에서 음식점을 제외하면서 오는 8월 만료되는 제과점업 상생협약에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대기업 제과점이 규제에 묶여 있는 동안 제과제빵 시장 상황이 변화한 까닭이다. 동네 빵집의 영업이익이 대기업을 앞서는가 하면 커피 프랜차이즈, 편의점, 대형마트의 디저트 부문도 성장하고 있다.빵을 팔고 있다. 협약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의견과 함께 대기업 역차별이라는 주장까지 나온다.

2013년부터 10년 넘게 이어진 제과점업 상생협약의 연장여부를 두고 동네 빵집과 대기업 빵집 간의 의견 대립이 치열하다. 10년간 묶여있던 대기업 빵집의 출점 규제에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빵을 비롯한 디저트류가 식문화의 한자리를 차지한 가운데 빵집 출점을 두고 업계의 신경전이 뜨겁다. 2013년부터 10년 넘게 이어진 제과점업 상생협약이 오는 8월6일 만료를 앞두고 있어서다. 동네 빵집은 생존을 위해 상생협약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대기업 빵집은 출점 규제는 실효성이 없을뿐더러 역차별이라고 주장한다.
현행 협약에 따르면 대기업 프랜차이즈 제과점은 ▲점포 수 총량 기준 전년도 말 2% 이내 출점 ▲중소 제과점과 도보 기준 500m 이내 출점 제한 등의 규제를 받는다.


'동네 빵집' 10년 동안 변화는


중소 제과업계 측은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카페까지 포함해 상생협약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5월12일 서울 송파구 가락몰에서 열린 '전국빵지자랑'에서 한 참가 업체가 갓 구운 육쪽마늘빵을 오븐에서 꺼내고 있다. /사진=뉴스1
대한제과협회에 따르면 2013년 동네 빵집 수는 중기적합 업종으로 지정된 지 9개월 만에 전년 대비 8.7% 늘어난 4762개가 됐다. 같은 기간 매출은 30% 이상 증가했다. 지난 6월 말 행정안전부 인허가 기준 전국에 영업 중인 제과점은 1만여개다. 10년 사이 동네 빵집 수는 2배 이상 늘었다.

대한제과협회 측은 현행 협약 내용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협약이 동네 빵집의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보호장치라는 주장이다. 지난 5월 대한제과협회 회원들은 서울 청계광장에서 '대기업 프랜차이즈 빵집 규제 연장'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벌였다. 서울 종로에서 소규모 개인 빵집을 운영하는 A씨는 "원가는 상승하는데 손님은 줄어 고사 직전에 있는 동네 빵집이 많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중소 제과업계 측은 새로운 경쟁자로 떠오른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카페까지 포함해 상생협약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근 편의점, 카페, 대형마트 등이 기업형 제과점 사업을 확장하는 상황에서 동네 빵집의 입지는 더욱 위태로워졌다는 것이다.


발목 잡힌 대기업 빵집 '역차별 논란'


2024년 파리바게뜨 가맹점은 3515개로 추정된다. 가맹점 수는 10년 사이 10% 미만의 증가에 그쳤다. /사진=뉴시스
10년 사이 동네 빵집 수가 2배 이상 늘어나는 동안 대기업 빵집 수는 정체됐다. 가맹점 수가 가장 많은 파리바게뜨는 2013년 대비 9.8%가량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공정거래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제과제빵 업종 중 가맹직영점은 514개, 가맹점은 8878개로 프랜차이즈 빵집이 차지하는 비율은 47.8%다.

2013년 일부 프랜차이즈 점주들은 대한제과협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 이내 출점'은 프랜차이즈 빵집의 폐업률을 고려할 시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이유였다. 결국 파리크라상이 적합 업종 권고사항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제과점업 동반성장 합의가 이뤄졌다.

최근 상생협약 연장 여부를 두고 업계에선 대기업 빵집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편의점, 카페, 대형마트 등이 제과점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빵집 점주들도 '소상공인'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국내 시장은 해외 진출에 필요한 '테스트 베드'와 같다. 국내 시장의 성장이 전제돼야 해외에서도 경쟁력 있는 K-제과점 브랜드로 육성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뚜레쥬르는 2018년 이후 미주 지역에서 400개 이상의 점포를 냈지만 국내서는 규제에 발이 묶여 힘을 내지 못하고 있다.


규제가 아닌 성장에 초점 맞춘 협약 필요


2013년 2월27일 오전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제과업계 대표들이 동반성장을 위해 합의서에 서명한 뒤 화합의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뉴스1
동반성장위원회는 지난달 27일 제과점업의 대·중소기업 상생협약 1차 회의에 이어 이달 11일 두 번째 회의를 진행했다. 협의 진행 상황과 관련해 동반성장위원회 관계자는 "최대한 협약 기한 내 양측의 의견을 균형 있게 반영해 결론을 내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전의 성심당은 올해 지역 빵집 최초로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300억원 이상으로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를 제쳤다"며 10년 전과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을 지적한다. 영업이익률만 놓고 비교하면 지난해 파리크라상은 0.9%, CJ푸드빌은 3%, 성심당을 운영하는 로쏘는 25.3%였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시장 변화를 세심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편의점, 대형 카페 등 다양한 시장 참여자의 현황과 성장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 시장조사업체 관계자는 "과거처럼 이분법적인 대결 구도로 빵집 매장 수만 비교해서는 안 된다"며 "보다 실효성 있는 협약을 위해서는 다방면으로 시장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서연 기자 ksey@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