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와 암 유발,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매커니즘 알아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소기관'을 불리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인체 내 돌연변이 현상을 밝혀냈다.
주영석 KAIST 교수는 "인간의 배아 발생 단계부터 노화·발암에 이르기까지의 미토콘드리아 발생과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했다"며 "미토콘드리아 DNA가 노화와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노화과정서 생성..6%는 모계로부터 전달
국내 연구진이 '세포 소기관'을 불리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인체 내 돌연변이 현상을 밝혀냈다. 암 발생 과정과 인간 배아 발생 및 노화 등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안지송 박사과정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와 세포 간 유전적 다양성(모자이시즘)을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에너지 대사와 사멸에 관여하는 세포 내 소기관으로, 세포핵과 독립적으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돌연변이도 발생한다. 하지만 이런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찾아내는 데 필수적인 단일세포 전장유전체 기술의 한계로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와 세포 간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연구팀은 31명의 정상 대장 상피 조직, 섬유아세포, 혈액에서 확보한 2096개 단일세포의 전장유전체 서열을 생명정보학 기법으로 분석해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세포 당 평균 3개의 유의미한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가 존재했다. 또 대부분은 노화 과정에서 생성됐으나 약 6%의 차이는 모계로부터 이형상태로 전달돼 수정란에서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암 발생 과정에서는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수가 유의마하게 증가했고, 이들 변이 중 일부는 미토콘드리아 리보핵산(RNA) 불안정성에 기여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주영석 KAIST 교수는 "인간의 배아 발생 단계부터 노화·발암에 이르기까지의 미토콘드리아 발생과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했다"며 "미토콘드리아 DNA가 노화와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지네틱스(지난 22일)' 온라인에 실렸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결혼 예정’ 애인의 아파트 빚, 일부 갚고 ‘공동명의’ 요구했더니…”
- "외로운데, 나 만나러 올래?"…조건만남 미끼 40대男 불러내 강도행각
- “저와 싸우려 하면 안된다”…이진숙 부른 최민희가 귓속말로 한 말
- "연예인이 벼슬이냐"…`변우석 과잉 경호 논란` 사설 경호원, 오늘 경찰 조사
- 이임생 축구협회 이사, 홍명보 선임 `특혜논란` 경찰에 고발당해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