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헤란로] 외국인에게 한국 금융은 어떨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인에게 한국 금융은 정말 편리할까.
은행들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일요일에도 특화점포를 운영하고, 최근 비대면으로 은행 계좌를 열고 카드 발급까지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게 됐다.
은행이 아무리 비대면으로 계좌를 열어주고 싶어도 결국 이를 가능케 한 것은 지난해 9월 법무부와 금융위원회가 '외국인 등록증 진위 확인서비스'를 허용한 이후다.
이에 시중은행들이 외국인 고객에게 앱을 통해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한국인도 고통스러운 '인증'의 벽에 막히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행이 아무리 비대면으로 계좌를 열어주고 싶어도 결국 이를 가능케 한 것은 지난해 9월 법무부와 금융위원회가 '외국인 등록증 진위 확인서비스'를 허용한 이후다. 그 전까지는 은행을 직접 방문해야 몇 달 만에 겨우 계좌를 열었다. 하지만 한국의 금융장벽보다 더 두터운 것이 바로 '언어장벽'이다. 외국인 특화점포를 운영하지만 이 같은 정보는 주로 한국어로 제공된다. 이에 시중은행들이 외국인 고객에게 앱을 통해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한국인도 고통스러운 '인증'의 벽에 막히게 된다. 외국인 고객 전용 앱인데 인증은 한국어로 안내되기 때문이다. 모바일 OTP·인증서 발급도 은행에 직접 가야 한다. 한국 대학이 경쟁적으로 유치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비를 낼 때도 은행을 직접 방문하고 있다. 이 같은 사례는 모두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직접 취재하면서 들은 불편 사례다. 즉 다국어 서비스를 하나 더 늘리는 것보다 세계 공용언어인 '영어'로 원스톱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더 필요하다.
이 같은 기본적인 접근성, 인프라를 깔아주는 것이 바로 정부가 할 일이다. 미래 고객에 목 마른 금융사는 앱 개발비용 등 인프라 지원을 해주면 금융사들의 투자 의지가 커질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아직 금융당국은 외국인 금융서비스 개선은 각 금융사가 자율적으로 경영상 판단할 사항이라는 입장이다. 인구감소 국가들은 인센티브를 내걸고 외국인 인력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정부가 '외국인력의 합리적 관리방안'을 위해 내년에 만들 기구에서 외국인 금융접근성 정책도 논의할 때다.
gogosing@fnnews.com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총각파티였어"…결혼 준비 중 전 여친과 잠자리한 남편
- '아들과 산책' 홍상수·김민희, 옆 중년 여성 누구?
- 김수현, 사생활 폭로 또 나왔다 "아이돌 출신 여배우 사귀며 김새론에 편지 쓰고 집 초대?"
- "속옷도 없이"…클라라, 마사지 중 드러난 뒤태 '아슬아슬'
- 김혜은 "가부장적 치과의사 남편, 8차선 대로변서 무릎 꿇으라고"
- 강릉 사천면 농수로서 50대 여성 숨진 채 발견
- 이영애 "70대 남편과 매일 키스…입금되면 다이어트"
- 김종인 "尹과 절연해야…한동훈만이 민주당 이길 후보"
- "드럼통 열었더니 사람 발이"…日 여성 시신 유기사건
- 이철규 국힘 의원 며느리도 대마 양성…아들은 구속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