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뽑을데 없네"…더 찾기 힘든 은행 ATM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바일 뱅킹 확산으로 은행 영업점이 갈수록 줄어드는 가운데 현금자동입출금기(ATM)까지 급감하고 있다.
비대면 거래 증가에 따른 이용자 감소로 ATM 폐쇄가 불가피하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지만,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년간 1만4426개 사라져
"비용 따지면 불가피한 선택"
모바일 뱅킹 확산으로 은행 영업점이 갈수록 줄어드는 가운데 현금자동입출금기(ATM)까지 급감하고 있다. 비대면 거래 증가에 따른 이용자 감소로 ATM 폐쇄가 불가피하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지만,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이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2018년 2102개를 시작으로 2020년 2770개, 2022년 2424개 등 매년 2000여 개의 ATM이 폐쇄됐다. 올해 상반기에도 660개가 철수됐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ATM 관리와 냉·난방비 등 유지 비용 때문에 ATM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뱅킹과 페이 등 간편결제 이용 증가로 현금 사용량이 줄어드는 것을 고려하면 ATM 축소는 자연스럽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은행 영업점 축소와 맞물려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한한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은행 영업점 역시 매년 줄어들고 있다. 2018년부터 올 6월까지 폐쇄된 은행 영업점은 1003개에 달한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179개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어 우리은행(161개), 국민은행(159개), 하나은행(159개) 순이었다.
폐쇄되는 영업점은 2020~2022년 매년 200곳이 넘었으나 작년엔 97개, 올해는 6월 말까지 43개로 줄어드는 등 감축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통해 영업점 폐쇄 과정을 까다롭게 해 은행권이 속도 조절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은행들은 사전영향평가를 하고 폐점 영업점을 대체할 수단을 마련해야 영업점 문을 닫을 수 있다. 강 의원은 “은행이 비용 효율화와 비대면 은행 거래 증가를 앞세워 지속적으로 점포를 폐쇄하고 ATM을 철수하고 있다”며 “당국은 ‘은행 지역 재투자 평가’ 시 은행 점포 감소의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하는 등 불이익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편의점 안 가도 돼요"…3000원대 도시락 '불티'
- "쌈 싸먹는 손님 보면…" 고깃집 사장님 '한숨'
- "한국인처럼 놀아요" 입소문 나더니…'우르르'
- "패딩 못 사 입을 판"…중국인 움직이자 '초비상'
- "자식보다 낫네" …노인들 9만원에 산 물건 정체
- "남는 게 있나"…다이소, 또 3만원짜리 '3000원'에 내놨다
- "코로나 때 지은 아파트 무조건 피해라"…경고 나온 이유
- "월급 300만원 줄여도 지원자 폭발"…'사직 전공의' 쏟아진 개원가
- "초점 나간 삼성 카메라 있어요?"…2030 싹쓸이한다는데
- [단독] "실업급여 토해내게 생겼다"…'초유의 사태' 벌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