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이코노미스트] IT 블랙아웃에 대처하는 자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주 금요일(19일)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광장에 있는 대형 전광판이 꺼지고 유나이티드와 델타 등 주요 항공사들의 운항이 멈췄다.
IT 블랙아웃을 계기로 아마존, MS, 구글 등 소수의 하이퍼스케일러가 장악한 클라우드 시장에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클라우드는 AI, 양자컴퓨팅, IDC 전력을 아우르는 디지털 인프라의 근간으로 더 크게 성장할 것이므로 기술적 보완에 집중하면서 글로벌 클라우드 생태계에 통신사와 포털 등 우리 IT 기업이 적극 참여하도록 돕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연결생태계 위험은 상존
백업·망 분리 의무대상기업
금융 유통 미디어로 확대해
비상사태시 복원력 키워가야
지난주 금요일(19일)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광장에 있는 대형 전광판이 꺼지고 유나이티드와 델타 등 주요 항공사들의 운항이 멈췄다. 독일, 프랑스, 홍콩 등 전 세계적으로 2000편 이상 항공편이 취소되고 대규모 지연이 발생하면서 여행과 출장 중인 수많은 사람이 고생했다.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은행과 결제 시스템까지 마비되면서 현금이 없으면 생필품을 살 수 없었고 일기예보도 칠판에 그려서 진행했다.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의 일부 서비스도 중단됐으며, 일본의 꽤 많은 기업도 업무 시스템이 다운돼 애를 먹었다고 한다. 이것만 보면 영화에서나 볼 듯한 글로벌 사이버 테러의 현장이다.
외국에서는 'IT 블랙아웃 사태'라고 불리며 미국 대선에 이어 최근까지 주요 뉴스를 장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혼란을 비껴간 덕분에 비교적 잠잠하다. 우리가 IT 강국이어서 이런 사태를 피한 것이 아니라 우리 기업과 공공기관 상당수가 MS가 아닌 아마존웹서비스(AWS)를 사용하거나 자체 온프레미스(on-premise) 및 통신사 데이터센터(IDC)나 네이버 등 국내 클라우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SKT·KT·LGU+ 등 기간통신사업자 11개와 네이버·카카오 등 부가통신사업자 7개, SK C&C 등 IDC 8개 등이 '재난관리의무사업자'로 지정돼 이중화와 백업 시스템을 운영해야 하는데, 정부가 내년부터 쿠팡과 에퀴닉스 등을 의무사업자에 추가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 있다. 재난관리의무사업자는 클라우드 다중화(멀티클라우드)와 소프트웨어(SW) 점진적 배포 같은 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하는데 금융, 유통, 미디어 등의 분야에서 그 대상을 점차 확대할 필요도 있다.
IT 블랙아웃은 글로벌 클라우드('하이퍼스케일러'로 불림), IT 플랫폼, 보안 및 기타 부가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등 광범위한 이해관계자가 서로 연결된 초거대 생태계의 존재를 상기시켜줬다. 생태계와 같은 복잡계가 커질수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데, 이번 사태에서도 MS 윈도가 설치된 전 세계 14억대 중 1%도 안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오류가 혼란을 초래했다.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위험에 대비해 무사고는 불가능하다는 인식과 사전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치와 더불어 재난 관리 시스템의 지속적 개선을 통해 복구력(resilience)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혹자는 모든 것이 연결된 세상에서 이런 사태는 피할 수 없다는 비관론을 펼친다. 그러나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인 프랭크 램지가 1928년에 밝힌 바와 같이, 완벽한 혼란은 불가능하다. 아무리 복잡해 보이는 거대 시스템도 자체적으로 질서를 갖추게 되고 안정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적절한 기술적 보완 조치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는 안정화와 복구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더 걱정되는 부분은 사실상 정책에 있다. IT 블랙아웃을 계기로 아마존, MS, 구글 등 소수의 하이퍼스케일러가 장악한 클라우드 시장에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프랑스를 선두로 유럽연합(EU)은 데이터법(Data Act)을 통해 '클라우드 주권(cloud sovereignty)'을 주창했으니, 이번 사태가 자신의 정책 방향이 올바르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할 것이다. 설익은 규제를 우리나라도 따라 할까 염려된다. 클라우드는 완성된 기술이 아니며, 빅테크보다 큰 생태계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맞물려 계속 진화 중이다. 앞으로 클라우드는 AI, 양자컴퓨팅, IDC 전력을 아우르는 디지털 인프라의 근간으로 더 크게 성장할 것이므로 기술적 보완에 집중하면서 글로벌 클라우드 생태계에 통신사와 포털 등 우리 IT 기업이 적극 참여하도록 돕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김도훈 경희대 경영대학 교수]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한밤 현관문에 귀 대는 낯선 남성들…“윗집 여자가 알려준 주소였다” - 매일경제
- 배추값 45% 참외값 28% ‘뚝’…“마트 가기 두려웠는데 이제 살만해지나” - 매일경제
- 모두가 전기차 어렵다며 말릴 때 …"독자기술로 돌파" 혁신 물꼬 - 매일경제
- 오늘의 운세 2024년 7월 24일 水(음력 6월 19일) - 매일경제
- “나이 40인데 어떡하나”...동탄 싱글남 이준석, 처음으로 거처 공개했다는데 - 매일경제
- “보기 민망했는데”…에미상 후보에 오른 ‘19금 논란’ 제니 데뷔작 - 매일경제
- “느그 서장 남천동 살제?”…부산인데 분양가 평당 4900만원, 서울 맞먹네 - 매일경제
- “나이 들어 자식들 신세지기 싫은데”…이런 고민 없애려 ‘노인위한 집’ 늘린다 - 매일경제
- “북한서 온 불청객 소리 없이 도심까지 침투”…서울서 두 번째 말라리아 ‘경보’ - 매일경제
- ‘돌아온 바람의 아들’ 이종범, 5출루 대폭발 “은퇴하고 13년만, 오늘 즐거웠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