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6인에게 배우는 글쓰기…"국악평론쓰기 참가자 모집해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국악원은 오는 8월 19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인마루 세미나실에서 국악을 중심으로 클래식, 대중음악, 영화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국악평론쓰기 교육'을 연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한 '국악평론쓰기'는 자유로운 비평 문화를 만들고 차세대 평론가를 육성하기 위해 2021년 처음 시작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청 기간은 오는 31일부터 8월 2일까지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국립국악원은 오는 8월 19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인마루 세미나실에서 국악을 중심으로 클래식, 대중음악, 영화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국악평론쓰기 교육'을 연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한 '국악평론쓰기'는 자유로운 비평 문화를 만들고 차세대 평론가를 육성하기 위해 2021년 처음 시작됐다. 그동안 전문 평론가 육성과 전통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비평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해 왔다.
이번 교육에서는 △국악 평론의 역사와 현재적 흐름 △국악 평론을 위한 대중음악 이해 △인공지능(AI)과 음악 비평 △영화 음악으로서의 국악 △문화 트렌드와 국악 평론의 미래적 접점 찾기 등의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공연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전문 평론가들이 강사진으로 나선다. 송현민 월간 객석 편집장, '20세기 한국음악의 혼종적 음악하기' 등의 저자 이소영 음악평론가, '봉준호 장르가 된 음악'의 저자 전찬일 영화평론가, 작곡가이자 평론가 이나리메 등 여섯 명이 참여한다.
'국악평론쓰기'는 오는 31일부터 8월 2일까지 국악 및 예술 분야 평론에 관심 있는 예술관련학과 대학(원)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전자우편을 통해 참가 신청을 받는다. 15명을 선발해 교육을 진행한다.
참가 희망자는 신청서와 함께 최근 관람한 작품에 대한 감상문이나 국악계 전반에 대한 개인적 의견을 담은 원고를 분량에 제한 없이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국악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js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남친·성병 다 있었네" 외국인 모델에 속은 소방관…따졌더니 '강간범' 소문
- "우리 며느리, 살 올랐네"…시모가 챙겨준 반찬통에 손 편지 '밥맛'
- '알몸에 허리 힙색만 달랑' 50대 러닝 남성…"뛸 때마다 중요부위 노출"
- 13세 제자와 성관계한 30대 여교사…교도소서 '에어로빅 강사' 됐다
- "스벅서 개인 칸막이 친 빌런…1500원 바나나 산 뒤 3시간 자리 차지"
- "애 둘 유부남, 술집 상간녀와 3년간 두집살림"…강남 현수막에 '시끌'
- '살빠진' 구준엽, 故서희원 못잊어 거처도 무덤 근처로 옮긴다? '대만발 이사설'
- 결식아동 급식카드 뺏어먹은 학생들…분노한 사장 "6년 무상식사 선행 중단"
- 남자친구 묶어놓고 20대女 집단성폭행…인도에서 또 끔찍 참사
- 최강희 "문해력 검사, 중학교 수준" 반전 고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