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장관 “북한 주민, 낮에는 ‘주체 문화’·밤에는 ‘남한 문화’ 소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한국 문화 등 외부 문화와 정보의 유입이 북한 체제에 균열을 내고 있는 만큼,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문화적 접근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장관은 현지 시간 23일, 통일부와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워싱턴에서 공동 주최한 '북한인권 국제대화'에서 "많은 북한 주민들이 낮에는 주체 문화, 밤에는 한류 문화를 소비하고 있고 이는 체제의 주체 문화와 주민의 한류 문화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한국 문화 등 외부 문화와 정보의 유입이 북한 체제에 균열을 내고 있는 만큼,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문화적 접근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장관은 현지 시간 23일, 통일부와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워싱턴에서 공동 주최한 ‘북한인권 국제대화’에서 “많은 북한 주민들이 낮에는 주체 문화, 밤에는 한류 문화를 소비하고 있고 이는 체제의 주체 문화와 주민의 한류 문화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2020년 이후 제정된‘반동사상문화배격법’, ‘청년교양보장법’, ‘평양문화어보호법‘도 주체 문화의 부정에 대한 북한 당국의 위기감을 반영한 대응”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탈북자 중 절반 이상이 20·30세대와 고위급 인사란 사실은 주체 문화의 강고한 벽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는 한류 영향력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북한 사회 내부 변화를 감안할 때,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강력하게 억제하기 위한 정치·군사적 접근과 동시에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 탈북민 강제 송환 문제와 관련해서는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던 북한 인권 문제”라면서 “특히 지난해 중국 정부에 의한 대규모 강제북송이 벌어지는 참담한 현실을 전 세계가 목도했다”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깊이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양민철 기자 (manofsteel@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번아웃’으로 병원 떠나는 간호사들…‘주 4일제’ 했더니?
- 이럴 땐 검사 받으세요…놓치기 쉬운 ‘치매 증상’
- [영상] 쿠바 ‘북한대사관’ 탈출기…“이웃도 믿을 수 없었다”
- ‘담임 교체’ 요구한 학부모…등교 거부한 초등학생들 [잇슈 키워드]
- “걔 돈 많으니까 1억 불러”…친구의 뒤통수 [잇슈 키워드]
- 삼겹살 등 270만 원어치 노쇼…또 ‘군인 사칭’? [잇슈 키워드]
- 착륙 도중 불붙은 소방헬기…조종사 전원 기적 생존 [잇슈 SNS]
- 도 넘은 연예인 ‘황제 경호’…탑승권 검사에 폭력까지
- “생일 한 달 앞두고…” ‘태권도장 학대’ 피해아동 숨져
- 아이가 틈 사이로 ‘쑥’…‘지하철 발빠짐’ 대책없나? [현장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