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무용지물 ‘방사능 감시기’…“잇단 고장에 감지도 안 돼”

이지은 2024. 7. 23. 21: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구] [앵커]

월성원전 저장수 누출 사고를 조사한 원안위의 방식이 허술했다는 보도를 어제 해드렸는데요,

기존에 설치된 바닷속 방사능 감시 기계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심 5미터 바닷속에 놓인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바다로 유입되는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15분마다 탐지합니다.

원안위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월성원전 주변인 포항·울산을 비롯해 전국 21곳 해역에 총 6억여 원을 들여 설치했습니다.

문제는 감시기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검출 가능한 최소 방사능 농도는 1시간 기준 리터당 0.32베크렐.

1960년대 세계 각국의 핵 실험 당시 서해는 물론, 지난 5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지 인근의 세슘-137 농도조차 측정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원자력 기관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뭐 아무리 측정해도 그걸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안 나오거든요. 그 정도까지 올라가려면 핵폭탄이 한 2만 발 터졌어야 해요."]

여기에다 설치 이후 6년간 발생한 고장만 40여 차례.

지난해 유지 보수 비용만 2억 3천만 원을 썼습니다.

[이정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과방위원 : "감마선 분광 분석 장비라는 게 있어요.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실제로 낮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라도 바로 잡아낼 수 있을 만한 시스템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기술원은 감시기는 신속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정밀 분석은 해수 직접 채취를 통해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원전 저장수 누출에 대한 허술한 대응은 물론, 정례적인 감시 분석도 부실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인푸름

이지은 기자 (eas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