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뒤 허리케인도 예측 … AI 기상예보 뜬다

이덕주 특파원(mrdjlee@mk.co.kr) 2024. 7. 23. 18: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글, 3500배 빠른 모델 이어
엔비디아, 실시간 대기 분석
MS·화웨이도 가세해 경쟁치열
2027년 시장규모 8조원 전망

인공지능(AI) 기상예보 산업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빅테크 기업은 AI 날씨 시뮬레이터를 공개하며 선점 경쟁에 나섰다. 고비용 슈퍼컴퓨터에 의존하던 기상예측 시스템에 AI를 장착해 예측 속도는 높이고 비용은 낮출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현재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는 물론 중국의 화웨이까지 뛰어들었다.

22일(현지시간) 구글 리서치는 네이처에 뉴럴GCM(NeuralGCM)이라는 이름의 날씨 예측 시뮬레이터를 소개하는 논문을 공개했다. 논문에 따르면 새로운 날씨 시뮬레이터는 종전 예측 방식에 AI의 기계학습(머신러닝·ML)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 50년간 날씨 예측은 복잡한 방정식을 사용해 대기 변화를 모델링하고 예보를 제공하는 일반 순환 모델(GCM) 방식을 사용했다. 물리학과 복잡한 계산을 통해 날씨를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뉴럴GCM은 기존 기상 데이터를 통해 AI가 물리학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실행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기존 방식의 단점과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장기적인 예측이 어려운 AI를 이용한 방식을 보완했다는 평가다. 날씨 예측을 위해 필요한 대기 변화 등 계산에는 전통적인 모델을 사용하고, 이 모델이 잘 작동하지 않는 특정 지역의 안개와 같은 미세한 기후에는 AI를 활용한다.

구글에 따르면 뉴럴GCM은 물리학 기반의 모델인 엑스실드(X-SHiELD)보다 3500배 이상 빠르다. 엑스실드가 20일 걸리는 시뮬레이션 작업이 뉴럴GCM에서는 8분이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컴퓨팅 파워가 줄어들어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엑스실드에서는 1만3000개 이상 중앙처리장치(CPU)가 장착된 슈퍼컴퓨터를 사용해야 하지만, 뉴럴GCM은 인공신경망인 TPU가 한 대 장착된 컴퓨터만 있으면 된다. 계산 비용이 10만배 적게 들어간다고 구글은 설명했다.

구글은 지난해 11월에는 '그래프캐스트(GraphCast)'라는 날씨 예측 AI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그래프캐스트는 당시 기존 기상예측 모델에 비해 저비용으로 고성과를 낼 수 있어 주목을 받았다. 구글은 그래프캐스트를 비롯한 과거 모델들이 단기 예측에 집중했지만, 새롭게 공개한 뉴럴GCM은 장기는 물론 기후 예측까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뉴럴GCM을 통해 1년 전에 미리 허리케인을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기능이 사전에 폭풍에 대비하고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AI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도 올해 기상예측 AI를 공개했다. '어스-2'는 엔비디아의 기후 예측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디지털 트윈'이다. 지구 대기환경을 시뮬레이션했으며 기존 기상청들의 방법보다 1000배 빠르고, 분석 대상의 해상도를 10배 높일 수 있다. 최근 대만 기상청이 어스-2를 도입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1월 클라이맥스(ClimaX)라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미국 외 국가 중 가장 앞선 곳은 중국이다. 화웨이 클라우드가 2023년 7월 네이처에 공개한 '판구웨더'는 기존 모델보다 예측 속도가 1만배 빠르다. 화웨이는 이 모델을 무료로 일반에 공개하면서 향후 10일간의 일기 예보까지 내놓고 있다.

구글을 비롯해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화웨이 모두 고성능 AI를 개발하고 있으며 기상예측 분야는 AI가 확실히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시장이라고 보고 있다. 기상예측은 그동안 고성능 슈퍼컴퓨터가 해오던 일이었다. 하지만 이런 슈퍼컴퓨터를 사용하는 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됐다. 순차연산에 특화된 CPU가 주로 사용됐기 때문이다.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사용해 연산을 하는 AI의 등장으로 기상예측을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AI가 어떤 근거로 이런 예측을 내놓는지 알 수 없는 '블랙박스'라는 점 때문에 이에 대해 불안감을 갖는 연구자도 많다.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 따르면, 기상예보시장은 30억8528만달러(약 4조2786억원)에서 2027년 58억3504만달러(약 8조920억원) 규모로 커질 예정이다.

[실리콘밸리 이덕주 특파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