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슬금슬금 "좀 버텨볼까"…'1년 내 되팔이' 부동산 단타 줄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집합건물을 매수한 후 1년 이내 매도하는 이들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22일 직방이 올해 상반기 소유권 매매 이전 등기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국에서 집합건물을 매도한 사람 중 보유한 지 1년 이내에 되판 비율은 3.6%로 집계됐다.
또 집합건물을 산지 1년 초과, 2년 이하에 되판 매도인 비율도 2022년 15.7%에서 2023년 12.5%, 올 상반기 9%로 떨어지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집합건물을 매수한 후 1년 이내 매도하는 이들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하반기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이 살아날 조짐이 보이자 집을 팔 시점을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2일 직방이 올해 상반기 소유권 매매 이전 등기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국에서 집합건물을 매도한 사람 중 보유한 지 1년 이내에 되판 비율은 3.6%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비율이다.
이 비율은 2021년 8.4%를 기록한 후 2022년 8.3%, 지난해 4.5%로 점차 낮아졌다. 2022년 당시에는 하반기부터 금리가 인상되며 부동산 거래량이 급감하자 이자부담을 버티지 못한 이들이 매물을 내놓으며 이 비율이 8%대로 높았다. 또 집합건물을 산지 1년 초과, 2년 이하에 되판 매도인 비율도 2022년 15.7%에서 2023년 12.5%, 올 상반기 9%로 떨어지고 있다.
당시 이자부담을 버틴 이들이 이제는 금리인하가 예상됨에 따라 가격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에 매도 시점을 미룬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1~2022년 상반기 당시에 집합건물 가격은 상대적으로 고점이었는데 2022년 하반기부터 떨어져 상당수 집합건물은 아직 당시 가격 수준까지 돌아가지 못했다.
지역별로는 올 상반기 서울의 1년 이하 매도인 비율이 2.4%로 가장 적었다. 상대적으로 집합건물의 매입가격이 커 매도의 부담이 높고 최근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매도시점을 미룬 것으로 풀이된다.
이용안 기자 ki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김남일 "아내 김보민, '호피속옷' 입으면 뭔가 원하는 날…무섭다" - 머니투데이
- "17세에 10살 연상과 교제→출산…남편, 바람에 손찌검까지" - 머니투데이
- '황정음 새 남친' 농구선수, 44억 건물 보유…7살 연하에 재력까지 - 머니투데이
- 또 연예인 '과잉 경호' 논란…크래비티 팬 "경호원에게 맞아 뇌진탕" - 머니투데이
- '재력가와 재혼' 김성경 "아들에 알렸더니 반응이…" - 머니투데이
- "시세차익 25억"…최민환, 슈돌 나온 강남집 38억에 팔았다 - 머니투데이
- 정준하 "하루 2000만, 월 4억 벌어"…식당 대박에도 못 웃은 이유 - 머니투데이
- "700원짜리가 순식간에 4700원"…'퀀타피아 주가조작 의혹' 전직 경찰간부 구속 - 머니투데이
- 박나래, 기안84와 썸 인정…"깊은 사이였다니" 이시언도 '깜짝' - 머니투데이
- "수능 시계 잃어버려" 당황한 수험생에 '표창 시계' 풀어준 경찰 '감동'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