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탁의 절세통통(㪌通)]상속시 장기보유 특별공제 요건 따져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0년 전 남편과 사별한 A 씨는 남편 단독 명의의 아파트 1채를 상속받았다.
답부터 말하면 A 씨는 특례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다.
A 씨가 현재 시세인 30억 원에 이 아파트를 처분한다면 장기보유특별공제율 40%를 적용받아 양도세 2억1000만 원을 내야 한다.
만약 A 씨가 상속을 받은 시점으로부터 3년이 되지 않았는데 이 아파트를 팔았다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주택에 2년 거주시 최대 80% 특례
특례 적용 땐 상속인 거주기간 합산
공제율 따질 땐 본인 명의 거주기간만
양도세는 부동산을 보유하고 거주한 기간에 따라 양도차익의 일정 비율을 과세표준에서 공제해준다. 이를 ‘장기보유특별공제’라고 부른다. 부동산을 오랫동안 보유하다 매각하면 장기간에 걸쳐 누적된 차익에 대해 한꺼번에 세금이 매겨진다. 그런데 양도세는 누진세율이라 오래 보유할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돼 세금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런 불합리를 해소하고 부동산의 장기 보유를 유도하기 위해 만든 제도가 장기보유특별공제다.
일반적인 장기보유특별공제는 보유 기간이 3년 이상일 때 연 2%씩 최대 30%까지 공제한다. 1가구 1주택자는 이보다 공제율이 높은 특례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한다. 단 거주 기간 2년 이상이라는 요건을 채워야 한다. 2년 이상 거주했다면 거주 기간과 보유 기간에 따라 각각 4%씩 최대 80%까지 공제받을 수 있다.
A 씨는 남편 명의의 아파트를 상속받은 뒤 해당 아파트에서 거주하지 않았다. 2년 이상 거주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으니 일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받는다고 여길 수 있다. 반대로 남편과 함께 20년을 거주했으니 특례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공제율을 따질 때는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이때는 남편 사망 전 거주 기간과 남편 명의로 보유한 기간은 A 씨의 거주 및 보유 기간에 합산하지 않는다. 장기보유특별공제 거주 기간은 양도자 본인 명의로 보유하던 기간 중 거주한 기간만 계산한다. 상속 받았다면 상속 개시일이 취득 시점이 된다. 따라서 A 씨는 거주 기간에 따른 공제는 받지 못하고 10년 보유에 따른 공제만 받을 수 있다. A 씨가 현재 시세인 30억 원에 이 아파트를 처분한다면 장기보유특별공제율 40%를 적용받아 양도세 2억1000만 원을 내야 한다.
만약 A 씨가 상속을 받은 시점으로부터 3년이 되지 않았는데 이 아파트를 팔았다면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없다. 장기보유특별공제는 보유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부터 적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속 개시 이후 양도 시점까지 기간이 길지 않아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지 못하더라도 그 차익이 크지 않아 양도세는 얼마 안 될 수 있다. 어쨌든 세법에는 이처럼 중요한 내용이 아주 디테일한 곳에 숨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우병탁 신한은행 WM추진부 부부장(법학박사)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카카오 김범수 구속… 법원 “증거 인멸 및 도주 염려” 영장 발부
- 트럼프 바람에 바이든 레임덕 위기까지… 韓방위비 협상 등 딜레마
- 野, 환노위서 ‘노란봉투법’ 단독 의결… 與 반발 퇴장
- 서울 전 지역에 호우 재난문자…“침수 위험지 대피”
- 마지막날까지 與 ‘자폭 전대’… 당내 “누가 돼도 통합 쉽지 않을 듯”
- 권익위, 이재명 헬기 이송 특혜 논란에 “위반 사항 없다”
- 문 밖에서도 들릴 만큼 코를 심하게 곤다.
- 대법관 청문회인데…金여사 의혹·이재명 재판 놓고 與野 공방
- 이원석 “대통령 부인 조사서 원칙 안 지켜져” 대통령실 “檢총장이 자기 정치”
- ‘정청래 제명 청원’ 5만명 넘겨… 鄭 “법대로 할테니 尹청문회 응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