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에 공장 건설 중단까지…위기의 2차전지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차전지주가 연일 급락하고 있다.
전기차 의무화 폐지를 공언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의 11월 대선 승리 가능성이 커지며 투자심리가 식고 있다.
게다가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전기차 배터리 3공장 건설 중단 소식까지 악재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취임 첫날 전기차 의무화 폐지" 공언
'캐즘'에…LG엔솔, GM과 합작공장 건설 중단
"국내업체, 생산능력 투자속도 조정 필요" 목소리도
0[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2차전지주가 연일 급락하고 있다. 전기차 의무화 폐지를 공언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의 11월 대선 승리 가능성이 커지며 투자심리가 식고 있다. 게다가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전기차 배터리 3공장 건설 중단 소식까지 악재로 떠오르고 있다.
22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전 거래일보다 1만7000원(4.92%) 내린 32만 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6월 28일(종가 기준, 32만6500원) 이후 가장 저조한 주가 수준이다. 이 외에도 삼성SDI(006400)와 LG화학(051910)도 각각 4.20%, 4.05%씩 하락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에코프로비엠(247540)과 에코프로(086520)가 각각 6.65%, 4.89%씩 내렸고 천보(278280)도 6.01% 미끄러졌다.
게다가 ‘캐즘(대중화 전 수요 정체기)’도 길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글로벌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가 미국에 짓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3공장 건설이 일시 중단됐다. 3공장은 총 26억달러(약 3조6000억원)가 투입되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기지로, 올 하반기 준공 예정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전반적인 투자 속도 조절이 이뤄지고 있지만 공장 건설을 완전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며 “시장 상황에 맞춰 탄력적인 운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지만 성장성 둔화에 대한 시장 우려는 여전하다.
실제 GM은 올해 전기차 생산량을 이전보다 5만대 적은 20만~25만대 수준으로 줄이겠다고 밝혔고 미국 자동차 기업 포드는 전기차 대신 내연기관차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 마저 멕시코 공장 신축 계획을 늦췄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집권 시 중국기업에 대한 견제 분위기는 이어지겠지만, 친환경 정책 폐지 혹은 완화로 미국 전기차 전환 속도가 둔화될 경우, 배터리 셀 공급 과잉은 더욱 심화할 수 있다”면서 “국내 업체도 북미 현지 배터리셀 생산능력 투자속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소재업체들의 중장기 투자계획 변경도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김인경 (5to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업 죽이기지!” 백종원 ‘연돈볼카츠 사태’ 직접 해명했다
- 바이든 사퇴에 불확실성↓ 뉴욕증시, 상승 출발…엔비디아 4%↑
- "층간 소음 신고 됐습니다" 문자 받았다면...즉시 삭제해야
- "몸이 먼저 움직였다"…비행기서 쓰러진 시민 구한 '영웅'[따전소]
- 소년이 채석장서 주운 녹슨 나사…알고보니 '1800년 전 반지'
- "차별했다" 술에 취해 80대 母 살해한 40대, 현행범 체포
- “대변 봤냐, 예의없다” 지적한 카페 사장…반전 상황 보니
- 주먹 휘두른 남편, 칼 들고 맞선 아내...나란히 체포
- 축구협회 "전력강화위 역할·한계 오해 있었다"...감독 선임 과정 공개
- 한일 레전드 경기 나서는 이종범 "예전엔 목숨걸고 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