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던, 일상 속 재난…‘MAY DAY MAY DAY MAY DAY’展 [전시리뷰]

이나경 기자 2024. 7. 22. 18:2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성진 작가의 ‘조화(弔花, 造花, 調和) 바이러스’ 작품. 작가는 공동묘지의 조화를 활용해 코로나 바이러스의 모양이자 꽃으로 형상화했다. 서로가 서로를 피해야 했던 팬데믹 시대 바이러스가 퍼져나가듯 전시장을 방문한 사람들의 얼굴과 옷 등 사방에 미러볼의 빛이 퍼뜨려진다. 미학관 제공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이들이 있다. 살아 숨 쉬며 우리 곁에 존재해도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존재로서의 의미는 퇴색한다. 외면으로 존재의 가치가 퇴색되는 건 비단 사람뿐만이 아니다. 바로 옆에서 어떠한 사건과 사고가 벌어지더라도 그것을 외면해 버린다면 때로 발생하지조차 않았던, 없던 일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재난’에 대해 우리는 대게 ‘미래에 닥쳐올 일’, ‘우연히 발생한 사고’라는 생각을 떠올린다. 하지만 누군가는 차별과 소외, 무관심과 배제의 폭력에서 일상 속 ‘재난’을 매일 마주하고 있다. 지난 12일 시작해 복합문화공간 111CM에서 순항 중인 수원문화재단과 전시공간 미학관의 민·관 협력 전시 ‘MAY DAY MAY DAY MAY DAY’는 재난의 잃어버린 ‘현재성’에 주목, 카모플라쥬(위장)처럼 모습을 감추고 일상 속 숨겨진 재난을 드러낸다는 의미를 갖는다.

‘MAY DAY MAY DAY MAY DAY’ 전시회 현장에서는 전시의 의미가 드러난 포스터를 살펴볼 수 있다. 대문자로 적혀 언뜻 보기에 긴급 구조요청 상황인지 살펴볼 수 없다는 역설을 담아낸 제목을 통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사회 안전망과 시스템을 가리키고 있다. 이나경기자

뚜렷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이번 전시의 의미는 제목에서부터 드러난다. 국제 조난신호로 알려진 ‘메이데이(Mayday)’는 노동절을 의미하는 ‘메이데이(May Day)’ 등 다른 단어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위급 상황 전달 시 ‘메이데이-메이데이-메이데이’라는 동일 음절 세 번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달리 대문자로 쓰인 전시 제목은 위급 상황을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하지 못하고, 노동절을 뜻하는 단어도 되지 못한 채 음절의 껍데기만 남아있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이슬비 미학관 디렉터 겸 독립 큐레이터는 “도움을 요청하지만 닿지 않는 목소리가 가진 역설을 드러냈다”며 “별안간 닥쳐오는 천재지변이나 불의의 사건·사고가 아닌, 우리 주변의 차별과 무관심 속 모습을 감추고 있는 재난의 역설을 드러내고 시스템 밖에 존재하는 이들에 주목하기를 바란다”고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전시는 국내·외를 대표하는 현대미술 아티스트이자 시각예술 작가 총 8명이 참여해 회화, 드로잉, 영상미디어, 설치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해 관찰자가 돼 목격한 다양한 시선과 침묵 당한 소수자의 목소리를 전한다.

(왼쪽부터)전시에 앞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 자리한 치명타, 봄로야, 송성진, 정혜정 작가의 모습. 작가들은 전시를 통해 “재난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고, 이미 진행 중이라는 메시지를 상시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나경기자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독특한 공간 구조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1970년대부터 30년간 국가 기간산업의 축을 담당해 오던 연초제초장이 위치했던 111CM 부지는 몇 년 전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공간 특유의 감각적인 분위기를 위해 남겨진 빛바랜 콘크리트와 고개를 뻗으면 천장 곳곳에 남아있는 뼈대 흔적은 일상의 시스템과 시스템 밖에 위치한 사람에 주목하는 전시 분위기와 자연스레 융화되고 있다.

독특한 공간을 지나 전시 현장에 입장하면 천장에 드리워진 송성진 작가의 ‘자세들-매달리기’(2017-2018) 작품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각 2m가 넘는 얇고 긴 흰색 배경에는 두 손을 뻗어 어딘가에 매달려 있는 다양한 인종, 성별, 연령대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전시장 천장 뼈대에 걸려있는 작품 아래를 걸어가면 마치 작품 속 인물들이 ‘나’를 쳐다보거나 아래로 떨어질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송성진作 ‘자세들-매달리기’(2017-2018). 작가는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고 있는 도시 거주자들과 그들의 삶의 형태에 주목한다. 미학관 제공

작가는 작품을 통해 동일한 조건 안에 하나의 선을 그어놓고 매달려 있는 ‘우리’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작가는 “독일 베를린에 머무르던 당시 그곳으로 넘어오다 죽음을 맞이하는 난민과 아이들을 목격하게 됐다”며 “수많은 난민과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들어와 사는 그곳 도시에서는 한국인도 ‘이방인’이 아니라 말할 수 없다. 과연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서 어떠한 자세로 삶에 매달리고, 우리 사회는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품은 베를린을 거쳐 파키스탄에서도 진행됐다.

시스템 바깥에 위치한 존재가 자신의 존엄을 천명할 때 발생하는 사건을 이야기하는 치명타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종이 아래’ 등 8여 점의 작품 및 신작 ‘재난 위장술’ 시리즈를 선보였다. 특히 손가락 크기만 한 인형 캐릭터를 활용한 ‘코팡 물류센타’(2020) 작품은 관람객의 발길을 붙잡고 고개를 숙여 그 안을 자세히 관찰하게 했다. 작가는 비일상적인 귀엽고 앙증맞은 캐릭터에 현실적인 배경을 배치해 일상의 역설과 우리가 늘 마주하는 곳에 숨겨진 노동문제를 아이러니함 속에 사유하게 만든다.

치명타作 ‘코팡 물류센타’(2020). 비일상적인 앙증맞은 캐릭터와 현실을 떠올리게 만드는 배경이 역설적으로 배치돼 있다. 이나경기자

여성, 노숙인 등 사회 소수자에 주목하고, 연구자와 활동가 등 여러 창작자와의 대화나 협업을 통해 현장의 단면을 드로잉, 텍스트, 미디어, 사진, 아카이브 등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내는 봄로야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유연한 손’, ‘유연한 발’ 등 10여 분가량의 영상 및 회화 작품으로 선보였다. 용산역과 인근 호텔의 통로를 배경으로 한 신작 ‘연결 통로 가이드의 하루’에 관해 작가는 “도시 개발의 이면과 배제된 존재들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봄로야 작가의 작업 방식은 도시에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이들을 ‘찾아내고’, ‘관찰하고’, ‘드러내고’, ‘함께하는’이라는 수식어가 어울렸다. 과거 한센인 마을이었던 서울의 한 번화한 도심이나 개발을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로 점철된 어떠한 지역의 모습, 여성 노숙인의 모습을 다룬 작품을 들여다보면 도시의 이면을 관찰할 수 있다.

봄로야作 영상비디오 작품 ‘연결통로 가이드의 하루’(2024). 작가는 용산참사가 일어났던 용산역과 인근 호텔의 연결통로의 모습에서 ‘사건 현장’의 단면을 담아냈다. 미학관 제공

관람객은 전시와 함께 재난 대비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기후 위기에 대응해 제로웨이스트 일상용품 만들기 등 전시의 의미가 담긴 독특한 연계 프로그램도 즐길 수 있다. 전시는 오는 9월8일까지.

이나경 기자 greennforest2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