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에 글로벌 통신요금 인상 러시… 한국은?

김나인 2024. 7. 22. 17: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세계 각국에서 통신요금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22일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영국 통신 규제기관 오프콤(Ofcom)은 지난 19일(현지시간) 통신사 대상 소비자 보호 규정을 통해 내년 1월 17일부터 계약에 포함된 모든 통신요금 인상에 대해 파운드와 펜스 단위로 세세하게 미리 고지할 것을 공지했다.

미국 주요 통신사인AT&T, T모바일, 버라이즌 등은 통신요금을 인상하거나 혜택을 축소하면서 수익성 방어에 나서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인하압박에 수익성 하락
"투자여력 격차 벌어져" 우려도
오프콤(Ofcom)홈페이지 갈무리.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세계 각국에서 통신요금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영국은 통신사가 통신상품 가입 중에도 물가상승을 반영해 통신요금을 올릴 수 있다. 미국, 인도 등에서는 물가상승과 5G, 인공지능(AI) 투자 등의 영향으로 통신요금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정부와 정치권의 통신비 인하 압박 속에 연이은 중·저가 요금제 출시, 시장 포화 여파로 수익성이 낮아지면서 해외 통신사들에 비해 투자 여력 격차가 벌어지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영국 통신 규제기관 오프콤(Ofcom)은 지난 19일(현지시간) 통신사 대상 소비자 보호 규정을 통해 내년 1월 17일부터 계약에 포함된 모든 통신요금 인상에 대해 파운드와 펜스 단위로 세세하게 미리 고지할 것을 공지했다.

영국 통신사들은 공급자가 자체적으로 가격을 책정할 수 있도록 돼 있어서 이미 가입된 요금제라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 요금을 올릴 수 있다. 이번 조치는 내년부터 물가인상으로 인한 통신요금 인상 시 관련 내용을 공지하도록 한 것이다. 오프콤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광대역·모바일 가입자 10명 중 6명이 물가인상 연동으로 통신요금 인상이 적용되는 계약을 맺은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 통신사 BT, 보다폰, O2 등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지난해에만 요금을 각각 14.4%, 9.3%, 11.4% 인상했다.

미국, 인도 등에서도 최근 통신요금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주요 통신사인AT&T, T모바일, 버라이즌 등은 통신요금을 인상하거나 혜택을 축소하면서 수익성 방어에 나서고 있다. 버라이즌은 올 초 일부 구형 요금제 가격을 인상하고,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애플 뮤직 등 부가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던 가입자 혜택을 없앴다. 지난 3월부터 5G 일부 요금제에 대해 4달러(약 5500원) 요금 인상을 적용했다. T모바일은 지난달부터 일부 구형 요금제를 대상으로 회선당 월 5달러(약 6900원) 연결 기기 요금제는 회선당 월 2달러(약 2700원) 올렸다. 외신에 따르면, AT&T는 인력 감축을 추진하는 동시에 내달부터 단일 서비스 회선은 월 10달러(약 1만4000원), 다중 서비스 회선은 월 20달러(약 2만7000원) 인상한다고 공지했다. 다만, 가격 인상 요금제에 제공되는 고속·핫스팟 데이터 양은 늘릴 계획이다.

인도의 주요 통신사도 요금 인상에 나선다. 인도 통신사 릴라이언스 지오(Reliance Jio)는 이달부터 적용되는 선·후불 요금제를 12~27%까지 인상한다고 밝혔다. 인도에서 두 번째로 큰 통신사인 바르티 에이텔(Bharti Airtel)도 릴라이언스 지오 발표 직후 하루 만에 모든 선·후불 요금제 대상 최대 20% 요금을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요금 인상은 2021년 이후 양사가 처음으로 실시하는 큰 폭의 요금 인상이다. 이는 통신사들의 5G·AI 기술 투자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반면, 우리나라는 정부가 통신비 물가 조절에 나서면서 요금 인상에 민감한 편이다. 요금 인하 압박으로 5G 중·저가요금제 출시, 전환지원금 지급 등이 연이어 나오면서 실질 통신비 부담을 낮추려는 움직임이 이어졌다.

이 가운데 국내 통신사들이 요금제 변화, 물가상승, AI 투자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신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유무선 매출 성장률은 1%대에 머물러 있다. 다만, 멤버십 혜택 축소 등이 이어지면서 통신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도 여전한 상황이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