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소’ 의원에서 ‘최고령’ 대통령까지…바이든의 50년 정치 인생[바이든 사퇴]

최혜린 기자 2024. 7. 22. 14: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2년 델라웨어주에서 상원의원으로 당선된 조 바이든 대통령의 모습.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은 50년이 넘는 세월을 공직에서 보낸 ‘미국 현대 정치사의 산증인’으로 꼽힌다. 상원의원, 부통령을 지낸 뒤 대통령직에 오른 그는 미국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정치인’으로 각인됐지만, 고령 우려를 넘지 못하고 정치 인생에 마침표를 찍었다.

‘최연소’ 상원의원 등극 후 6선 달성

대학 졸업 후 변호사로 활동하던 바이든은 1970년 델라웨어주 뉴캐슬 카운티 의원으로 당선되며 정치에 발을 들였다. 2년 뒤엔 29세의 나이로 미국 역사상 가장 어린 상원의원에 등극했다. 당시 ‘세대교체론’을 내세우며 등장한 정치 신인이었던 바이든은 3선에 도전하는 공화당 중진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정치 인생은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다. 최연소 상원의원에 당선된 지 한 달 만에 아내인 닐리아와 한 살배기 딸을 교통사고로 잃었다. 바이든은 슬픔에 빠져 의원직을 내려놓으려 했지만, 가족들의 끈질긴 설득으로 마음을 다잡았다고 한다. 이후엔 영어 교사인 질과 재혼하면서 삶이 점차 안정됐고, 이후 6번의 선거에서 모두 당선되며 36년간 의회에서 일했다.

미국 연방 상원 법사위원장으로 재직하던 1987년 12월14일 조 바이든 대통령(오른쪽)이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대법관 인준 청문회에서 앤서니 M 케네디 대법관 후보자(가운데)와 에드워드 케네디의원(왼쪽)과 대화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의원 시절 바이든은 법사위원회와 외교위원회에서 활약했다. 법사위원장으로 재직할 당시엔 여성폭력방지법과 살상용무기금지법 통과를 주도하며 영향력을 키웠고, 이후 외교위원장까지 맡으며 승승장구했다. 당내 온건파로서 공화당과의 협력을 주도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오바마 정부 부통령 8년…3수 끝 대통령 당선

의회에선 화려한 이력을 쌓았지만, 대통령직과는 연이 없어 보였다. 그는 1988년과 2008년 대선에 출마했지만, 후보 경선에서 별다른 성과 없이 중도 사퇴했다. 다만 경선 과정에서 외교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바이든의 이력을 눈여겨본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8년 대선에서 그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하면서 기회를 얻었다. 바이든은 2009년부터 8년간 부통령을 지냈다.

마침내 백악관 입성의 길을 닦은 듯했지만 2016년 대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장남인 보 바이든이 뇌종양으로 사망하면서 또 한 번 시련을 겪었기 때문이다. 당시 오바마 전 대통령을 비롯한 민주당 다수의 지지가 힐러리 클린턴에 쏠려 있기도 했지만, 아들의 죽음을 동력 삼아 표를 모으지는 않겠다는 바이든의 의지도 강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8년 대선 당시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였던 조 바이든 대통령(왼쪽)과 대통령 후보였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오른쪽)이 손을 흔들고 있다. AP연합뉴스

바이든은 세 번의 도전 끝에 2020년 대선에서 역대 가장 많은 표(8120만표)를 얻으며 대통령직에 당선됐다. 취임 당시 78세로, 역대 최고령 대통령이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무너진 경제와 의료시스템을 복원했고, 자국 제조업을 활성화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도입했다. 아울러 동성결혼을 보장하는 법안에 서명하고 여성과 소수인종 대법관을 다수 임명하는 등 미국 사회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데도 힘썼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가자지구 전쟁 장기화, 치솟은 물가에 대해서는 비판받았다.

이처럼 반세기 넘게 이어진 바이든 대통령의 정치 인생은 임기 말부터 불거진 ‘고령리스크’에 결국 발목을 잡혔다. 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이력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재선 도전을 선언했지만, 힘을 잃고 넘어지거나 말실수하는 모습을 자주 보이며 인지력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국정연설 등으로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해왔지만, 지난달 TV 토론 이후로는 이 같은 우려가 민주당 의원과 측근들 사이에서도 터져 나오면서 끝내 재선 도전을 포기했다.

최혜린 기자 cher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