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도신공항 개항 목표와 완벽 시공 재다짐하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가덕도신공항 부지공사 입찰 조건을 대폭 변경했다.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은 이같은 내용의 '가덕도신공항 부지공사 입찰 참가자격 사전 적격심사(PQ)' 조건을 22일 공개한 뒤 31일 입찰 공고할 예정이다.
이제 관심은 기업이 몇 군데나 응할지, 부지공사 기간이 늘어나도 2029년 12월 개항엔 차질이 없을지 여부다.
정부의 입찰 조건대로라면 '2029년 12월 개항'이라는 애초 목표는 유지하돼 전체 시설의 완공 시점이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9년 12월 맞추려면 빈틈 없어야
정부가 가덕도신공항 부지공사 입찰 조건을 대폭 변경했다. 시공능력평가액 상위 10개사 공동 도급 범위를 기존 2개사에서 3개사로 확대하고, 설계기간도 10개월에서 12개월로 2개월 늘렸다. 이와 함께 공사 기간을 착공 후 6년에서 7년으로 1년 연장했다.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은 이같은 내용의 ‘가덕도신공항 부지공사 입찰 참가자격 사전 적격심사(PQ)’ 조건을 22일 공개한 뒤 31일 입찰 공고할 예정이다. 입찰 횟수로는 이번이 세 번째다. 이제 관심은 기업이 몇 군데나 응할지, 부지공사 기간이 늘어나도 2029년 12월 개항엔 차질이 없을지 여부다. 일단 국토교통부는 입찰 조건 변경이 개항 일정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5일과 24일의 1차(무응찰)와 2차(단독 입찰) 입찰 유찰은 가덕도신공항을 염원하는 부산 경남 시민에게 불안감을 안기기에 충분했다. 가덕도신공항이 2029년 12월 개항하려면 안 그래도 공기가 빠듯한데 이러다 더 늦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 늦게라도 정부가 조건을 바꿔 보다 많은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을 튼 건 그나마 다행이다. 11조 원에 가까운 공사비를 대기업 2곳에서 책임지기에는 위험 부담이 과하다는 문제점은 그동안 꾸준히 제기됐다. 정부가 두 달을 허비하고서야 현장 요구를 상당폭 수용하자, 지역 사회가 안도하면서도 한편으론 아쉬움을 토로하는 이유가 거기 있다.
정부의 입찰 조건대로라면 ‘2029년 12월 개항’이라는 애초 목표는 유지하돼 전체 시설의 완공 시점이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데 필요한 주요 시설물 공사 일정은 변함이 없고, 다만 기타 부대시설 준공이 1년 연장된다는 것이다. 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무산됐기 때문에 개항을 2029년에 굳이 맞출 필요성이 없지 않느냐는 문제제기가 역외에서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그건 부산 경남 상황을 전혀 모르거나 애정이라곤 없을 때 가능한 말이다. 이미 포화에 이른 김해공항 상태와 인천공항 원거리 이용 불편을 언급하는 건 이제 와 새삼스럽다. 갈수록 쪼그라드는 지역 인구와 가라앉기만 하는 지역 경제의 반등을 위해 관문공항이라는 디딤돌이 꼭 필요하다. 전국 곳곳에서 앞다퉈 추진되는 다른 공항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적기 개항에 의한 선점효과도 중요하다.
공기, 공동도급 범위, 설계기간 등 3대 난제가 건설사 요구대로 거의 받아들여졌다. 공동도급이 3개사까지 확대되면 주간사의 리스크 감소뿐만 아니라 지역 업체의 참여 공간도 넓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남은 건 건설사들의 선택이다. 건설 경기가 침체기라고는 하지만 이번 공사가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다. 부산 경남을 비롯한 남부권 주민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항이 적기에 개항하기를 손꼽아 기다린다. 가덕도신공항 공사는 세계 최고 기술력을 가진 한국 기업이 능력을 증명할 기회다. 이를 위해 정부도 최대한 뒷받침해야 한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