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이 ‘기회의 땅’이라는 젊은 그들 [아침햇발]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바닷바람에 말라 꾸덕꾸덕해진 생선을 동네 고양이와 강아지가 틈만 나면 물고 달아났다. 강원도 최북단 고성의 어촌에서 자란 김은율(34)씨는 어릴 적 부둣가 풍경을 떠올리다 생선으로 반려동물 간식을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디자이너로 일하던 김씨는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2019년 말 고향에 ‘동해형씨’라는 반려동물 사료 업체를 차렸다. 2년 뒤에는 5천만원의 에인절 투자도 받았다. 갓 잡아온 생선을 낙찰받아 특허받은 방법으로 모양을 살려 말리고, 짜지 않게 손으로 가공한 고급 간식은 입소문을 탔고, 재구매율도 높았다. 지난해 매출은 3억6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3배 뛰었고, 올해는 7억원을 목표로 한다. 외국에서도 주문이 들어와 올 1월에 홍콩으로 첫 선적을 했고 올해 안에 일본, 미국에도 수출할 계획이다.
지역 소멸과 지역 전성시대. 서로 모순되지만 둘 다 우리 지역의 현실이다. 국토 면적의 11%인 수도권에 인구의 51%가 몰려 살고 정치, 행정, 기업, 교육, 의료 등 모든 기능이 집중된 나라. 나머지 지역은 노령화와 인구 유출로 ‘소멸’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현실. 그런데도 고개를 돌리면 지역은 ‘로컬’을 주제로 한 다양한 창의적 실험이 벌어지는 곳이다. 지역의 문화, 역사, 특산물을 자원 삼아 창업하고 브랜드를 키워가는 사람들이 있다. 지역에 뿌리내리고, 나아가 전국, 세계를 겨냥하는 젊은 도전자들이 많아지는 것은 회색빛 지역에 한줄기 희망이다.
지역 연구자인 조희정(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은 “최근 10년 사이 로컬은 새로운 경제와 문화가 형성되는 기회의 공간과 지역을 의미하게 됐다”고 말한다. 그 핵심은 지역이 가진 콘텐츠의 힘이다. 대도시의 판에 박힌 일상과 달리 지역에는 독특한 ‘이야기’가 있다. 평소에 눈에 띄지 않지만 누군가에 의해 발굴돼 서사(스토리텔링)가 입혀지면, 이 콘텐츠가 외지인을 불러 모으고 물건을 사게 하는 매력이 된다. 경계인의 눈으로 볼 때 더 잘 보이는 이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사업으로 연결하는 사람이 ‘로컬 크리에이터’이고, 그렇게 성장해 전국적으로 알려진 것이 ‘로컬 브랜드’이다.
지난 5월 중순 서울역 문화공간에서 로컬을 주제로 한 첫 전시회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가 열려 로컬 브랜드가 전국 여러 곳에서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줬다. 앞서 소개한 동해형씨 외에도 성심당, 태극당, 모모스커피, 복순도가 등 지역을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 100여개가 참여해 제품과 서비스에 담긴 이야기, 가치, 커뮤니티를 들려줬다. 강원도 양양을 서핑의 요람으로 만든 ‘서피비치’나 ‘인’(iiin)이란 지역 잡지를 통해 제주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오래전 문 닫은 성 이시돌 목장의 한림수직이라는 니트 브랜드를 재생시킨 ‘재주상회’ 앞에는 관람객의 발길이 오래 머물렀다. 제품 외에도 1970~80년대의 하숙촌을 한옥 숙박 체험과 휴식이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한 충남 공주 제민천변, 개항면과 개항로 맥주로 잘 알려진 인천 개항로처럼 방문객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주는 거리도 전국에 속속 등장하고 있다.
사실 지역성의 힘을 한눈에 보여주는 로컬 브랜드는 대전의 성심당이다. 한국전쟁 직후 부산에서 상경하던 열차가 고장으로 멈춘 자리 대전, 신부가 내준 밀가루 두포대로 시작한 찐빵 장사, 대흥동성당의 종소리가 들리는 곳을 찾아 자리잡은 제과점 등 성심당의 이야기에는 지역성이 짙게 배어 있다. 대전을 벗어나 지점을 내지 않는 지역 중심 전략은 빵을 통해 공동선을 실천하는 경영이념과 맞물리며 많은 이들이 굳이 성심당 빵을 사기 위해 대전을 찾는 이유가 됐다.
아직 일부이지만 젊은이들이 로컬을 새로운 삶의 영토로 주목하는 건 반가운 일이다. 좋은 학벌, 대기업이나 전문직 취업, 강남 아파트 거주라는 틀에 박힌 성공 방정식을 거부한 이들일 수도 있고, 강한 지역성이 전국을 넘어 세계에 어필하는 기회라는 걸 일찍 알아차린 젊은이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이들이 일으키는 새바람은 침체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대기업 공장 유치나 베이비붐 세대의 귀농·귀촌을 추구하던 기존 지역 활성화 방식과는 결이 다른 움직임이다.
여름휴가철이다. 많은 이들이 휴식을 찾아 지역으로 갈 것이다. 이번에는 그 지역에서 청년들이 노력하는 로컬 브랜드의 거리나 상점을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bhle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건희 소환 강조’ 검찰총장, 10시간 뒤에야 ‘출장 조사’ 알았다
- 대북전단-오물풍선-확성기 악순환…접경 군사충돌 우려 커져
- 대통령실, ‘김건희 검찰 조사’ 침묵…“변호인에 확인해라” 미뤄
- [단독] 정우성,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 9년 만에 사임
- 태풍 ‘개미’ 간접 영향권...22~23일 경기 폭우 뒤 장맛비 ‘잠시 멈춤’
- MS발 먹통 대란에 “빙산의 일각”…취약성 노출한 ‘초연결 세계’
- 이재명 ‘90% 몰표’ 독주…최고위원은 ‘원외’ 정봉주 초반 선두
- 검찰청사 밖 ‘김건희 비공개 조사’…경호처 부속시설서 진행
- [단독] ‘김건희 소환’ 강조한 검찰총장 모르게…‘방문 조사’ 사후 보고
- “딸 몫까지 씩씩하게…” 서초구 순직 교사 부모님은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