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첫발부터 불안…청년 첫 일자리 31%는 '임시·일용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년층(15~29세) 인구의 첫 일자리 중 계약 기간이 1년 이하인 단기직 비중이 역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학교를 졸업하거나 도중에 그만둔 뒤 취업한 경험이 있는 전국 청년 376만5000명 가운데 첫 일자리가 계약기간 1년 이하의 임금근로 일자리였던 청년은 118만1000명으로 31.4%를 차지했다.
이는 임시·일용직을 첫 일자리로 시작한 청년의 비중이 높아진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8년 통계 공표 이후 처음으로 30% 돌파
1년 넘는 임금근로 일자리 비중은 5.8% 불과
청년층(15~29세) 인구의 첫 일자리 중 계약 기간이 1년 이하인 단기직 비중이 역대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고용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지위가 불안한 임시·일용직을 첫 일자리로 삼는 경우가 늘었다는 의미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학교를 졸업하거나 도중에 그만둔 뒤 취업한 경험이 있는 전국 청년 376만5000명 가운데 첫 일자리가 계약기간 1년 이하의 임금근로 일자리였던 청년은 118만1000명으로 31.4%를 차지했다.
이 비중이 30%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가 공표된 2008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이하 5월 기준)와 비교하면 2.4%포인트 높아졌다.
10년 전인 2014년(19.5%)과 비교하면 비중은 11.9%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임시·일용직을 첫 일자리로 시작한 청년의 비중이 높아진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계약 기간 1년은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인 상용직과 임시·일용직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이면 상용직, 1개월 이상 1년 미만이면 임시직, 1개월 미만이면 일용직으로 분류된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일시적 임금근로 일자리의 비중은 7.7%였다. 일시적 일자리에는 아르바이트 등이 해당한다.
일시적 일자리까지 고려하면 단기 일자리로 상대적으로 불안한 지위에 있는 일자리 비중(39.0%)이 40%에 육박한 셈이다.
이는 2021년 5월(40.4%)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비중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7.3%포인트 높아졌다.
계약 기간이 1년이 넘는 임금근로 일자리가 청년의 첫 일자리인 경우는 5.8%에 머물렀다. 계약 기간을 정하는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는 52.6%였다.
두 일자리의 비중은 58.4%로 10년 전보다 6.7%포인트 낮아졌다.
상대적으로 안정된 지위라 볼 수 있는 일자리 비중은 낮아지고 불안정한 일자리 비중은 높아진 것이다.
이는 청년층의 고용률이 호조를 보이는 상황에서도 ‘일자리의 질’은 낮아지고 있다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대목이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 고용률은 46.3%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세 번째로 높았다.
실제 청년층의 눈높이와 일자리 간 ‘미스매치’ 현상은 지속되는 모습이다.
지난 5월 기준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이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파악됐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4년 이후 역대 최장 기록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