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에너지 닮은 韓日 'CFE 동맹' 이어 수소·암모니아 협력까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대상국)에 복원한 지 1주년이다.
앞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일 양국은 △전력 △수송 △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수소와 암모니아 활용을 추진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이 중심이 돼 수소와 암모니아의 글로벌 밸류체인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대상국)에 복원한 지 1주년이다. 한때 기습수출규제와 그에 따른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등으로 맞붙었던 두 나라가 더이상 갈등과 견제만으론 보호무역주의가 기세를 펴는 세계 경쟁무대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판단에서 나온 결론이다. 실제로 지난 1년간 양국 관계 개선이 반도체 등 첨단산업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민간 투자까지 이어지며 경제 성장을 이끌고 있다. 첨단산업·공급망부터 CFE(무탄소에너지) 협력까지 양국의 협력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한국과 일본 양국은 유사한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와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에너지 믹스를 갖고 있다. 국제사회가 2050년 탄소중립(온실가스 발생량과 감축량을 더한 값을 0으로 맞추는 것) 목표를 내걸고 제조업과 발전 부문의 규범을 만들어 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한일 양국의 이해가 맞닿아 있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에 제안한 무탄소에너지(Carbon Free Energy, CFE) 이니셔티브를 포함해 글로벌 탄소 무역 장벽 대응 등에서 다각도의 협력방안이 오가고 있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와 올해 하반기 중 한·일 CFE실무협의회를 열고 CFE이니셔티브의 국제화산을 위한 실무자간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우리나라는 앞서 국제사회에 원전과 수소,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을 포함한 CFE이니셔티브 제안했다. 태양광과 풍력같은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에너지 비용상승과 기간산업 경쟁력 하락없이 탄소중립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우리 정부는 경제·산업구조가 비슷한 일본과의 공조를 통해 국제사회에 CFE 확산을 이끌어나갈 계획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AI(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를 포함해 새로운 산업이 들어서게 되면 기존의 재생에너지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전력 수요가 생겨난다"며 "일본 정부 역시 한국의 CFE이니셔티브 방안에 대해 추구하는 방향이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탄소중립 등 국제 에너지 전환 국면에선 한일 양국은 같은 목소리로 대응한다. 양국은 올해 4월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을 위해 '한일 글로벌 워킹그룹'을 가동시켰다. 양국 담당 부처의 과장급 실무자가 만나 세계 주요국·지역의 탄소규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글로벌 청정기술과 제품의 적절성 등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협의체다.
수소 에너지 분야의 협력도 적극적이다. 앞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일 양국은 △전력 △수송 △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수소와 암모니아 활용을 추진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이 중심이 돼 수소와 암모니아의 글로벌 밸류체인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두 나라의 에너지 조달 구조의 유사성에 기반해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저탄소 에너지 전환을 주도할 수소·암모니아 시장을 주도하자는 의미로 읽힌다.
이에 따라 올해 2월 수소·암모니아 분야 부처 국장급 실무자 협의가 열렸고 양국은 △청정수소 등 공급망 구축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청정 수소·암모니아 공급망 개발 워킹그룹' △'한일 수소·암모니아 공급망 및 활용 협력 플랫폼(가칭)' 추진 등 민관 협력에 합의했다.
한일 관계가 본격적으로 복원되기 전인 2022년에는 미국의 IRA(인플레이션감축법)을 통한 자국 생산 보조금 확대 정책에 대해 유럽·일본과 공동전선을 펴기도 했다. 각자 세계 주요 완성차 제조업체를 보유한 산업의 유사성에서 나온 협력 사례다.
김훈남 기자 hoo13@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장애가 있다고 신생아 버린 엄마…아빠는 알고도 모른 척 - 머니투데이
- 홍명보-손흥민 단둘이 무슨 말 했나…런던서 '1시간 독대' - 머니투데이
- 남편과 바람난 사촌언니…그 어머니는 "남편 간수 잘했어야" 적반하장 - 머니투데이
- '미혼' 이민우, 45세에 할아버지…7세 손자 "할머니들 연락주세요" - 머니투데이
- 안재욱, 머리 절반 절개한 뇌수술…"뇌혈관 터져 장애 확률 97%" - 머니투데이
- "돈으로 학생 겁박"…난장판 된 동덕여대, '54억' 피해금은 누가 - 머니투데이
- 김병만도 몰랐던 사망보험 20여개…'수익자'는 전처와 입양 딸 - 머니투데이
- '故송재림과 열애설' 김소은 "가슴이 너무 아프다"…추모글 보니 - 머니투데이
- "트럼프 취임 전에 서둘러"…美, TSMC에 최대 9.2조 보조금 확정 - 머니투데이
- "여 BJ 녹음은 사적대화, 난 당당"…8억 뜯긴 김준수, 마약에 선긋기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