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2~3년 안에는 엔비디아 적수 없을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AI 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진행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카이스트 김재철 AI대학원 정송 원장과의 대담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자국어 중심 모델을 개발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라며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보다 강력하게 반영한 자체 소버린 AI 확산을 위해 여러 국가 및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소프트웨어 따라잡기 어려워”
최수연 “비영어권 AI 기술 리더십 주도”
“2~3년 안에는 엔비디아의 적수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엔비디아가 부서지진 않을 것이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AI 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진행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카이스트 김재철 AI대학원 정송 원장과의 대담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가) 이점을 가지고 있던 게 GPU(그래픽처리장치)인데 그래픽을 다룬다는 건 AI 연산과 같은 얘기”라며 “소프트웨어도 상당히 발전해 있어 하드웨어를 똑같이 만든다고 하더라도 그걸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방법이 없다”고 부연했다.
다만 “AI를 가지고 돈을 버는 모델이 뭐냐가 정확히 나오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개인이든 기업이든 돈을 지불하는 게 안 된다고 하면 다른 종류의 칩이나 형태가 필요하기 때문에 엔비디아가 무너질 공산도 있다”고 했다. 또한 “엔비디아의 칩을 쓰는 MS나 구글, 아마존도 칩을 따로 만들고 있다. 그들의 경쟁력이 올라오느냐에 따라, 또 AMD 등이 싸게 만들 수 있느냐에 따라 엔비디아가 부서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그러면서도 “2~3년 내 AI로 돈을 버는 모델이 나온다고 하면 비싼 칩이라도 써야 한다. 그렇다면 5년 이상도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최근 비영어권 지역에서 자체 인공지능(AI) 모델 구축 수요가 증가하는 점을 언급하며 우리나라가 이를 기회로 삼아 AI 기술 리더십을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네이버가 자국어 중심의 AI 모델을 개발한 경험을 가진 만큼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자국 언어를 중심으로 초거대 생성형 AI 모델을 ‘프롬 스크래치(맨 처음 단계부터)’로 개발해 서비스 전반 적용까지 나아간 사례는 중국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선 한국이 실질적으로 유일하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자국어 중심 모델을 개발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라며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보다 강력하게 반영한 자체 소버린 AI 확산을 위해 여러 국가 및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AI 인프라·데이터·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공통 목표를 가진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글로벌 소버린 AI 생태계를 함께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의 미팅에서도 이 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최 대표는 “각 나라의 언어와 맥락을 잘 이해하는 AI 모델이 필요하다는 점을 황 CEO도 이해하고 있다”며 “혼자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칩 제조사와 국가, 통신사,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힘을 합쳐 소버린AI를 만들어보자고 했다”고 말했다.
정송 카이스트 김재철 AI대학원장은 대담에 앞선 발표에서 “바야흐로 인공지능의 시대가 도래했다”면서 “지금의 인공지능 모델은 데이터에서 사람이 찾아내지 못한 엄청난 특징을 스스로 찾아내는 능력을 가지게 됐다. 이는 불과 10년 밖에 되지 않은 얘기”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과거 인공지능은 기계에 지식을 알려주는 것이었다면 지금은 인간 뇌의 신경망 구조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해 기계가 스스로 깨닫게 한다. 데이터 기반의 학습이자 현재 인공지능 개념으로 이게 지금의 성공을 불러왔다”고 말했다.
제주=권남근 기자, 김현일·김은희 기자
happyda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협박 안했다고 발뺌하더니…쯔양, 구제역 ‘협박’ 영상·메일 공개
- 이준석 “조국 딸 조민이랑 왜 결혼했냐 따지는 어르신 많아…가짜뉴스 심각”
- "연진이 죄수복이냐"…中, 한국 올림픽 선수단 단복 '조롱'
- BTS 지민, 영감 찾는 여정의 시작…피독 PD “지민의 감정 반영에 중점”
- '혐한 논란' 장위안, 이번엔 中 황제 옷 입고 부채질…한국 누리꾼들 반감
- '아들 건다'더니 거마비 받은 카라큘라…사무실 간판 내렸다
- ‘제니·리사’ 블랙핑크 대신 투애니원?…1년 만에 9.5만→3.5만 ‘이 회사’, 2분기 ‘적자’ 경
- 35살 한국인, 인류 역사상 IQ 1위 됐다…"사기꾼으로 오해받아"
- "아내가 처제 결혼선물로 1850만원 긁었어요"…남편 사연에 누리꾼들 ‘시끌’
- 성과급 1700만원 아내에게 줬는데…자투리 4만6000원 덜 줬다고 욕먹은 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