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은 기회?…LG,힘주는 스마트팩토리 '실적 효자'될까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2024. 7. 19. 05: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전기·전자 장비, 냉난방공조 이어 스마트팩토리 '다음 먹거리' 지목
66년 축적제조·생산 데이터·노하우에 AI·DX 접목하면 승산있다 판단
"2030년까지 계열사 뺀 외판 매출액 조 단위, 10% 영업이익률"
전담 조직 꾸린 첫 해, 반년 만에 2천억원 수주 달성…보안 우려 불식 등 관건
LG전자 생산기술원의 로봇자동화 표준 플랫폼(FLEX RPS)이 적용된 로봇이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 LG전자 제공


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를 다음 먹거리로 지목하고 나섰다.

그동안 축적해온 제조·생산 데이터와 노하우를 사업화하고 특히 LG전자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은 B2B(기업간거래) 사업을 키워 사업 체질 개선을 꾀하겠다는 것인데 오는 2030년 조 단위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인데 성공 사례 발굴과 보안 우려 불식 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정대화 사장이 18일 평택 디지털파크에서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LG전자는 18일 경기 평택 LG디지털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계획을 밝혔다.

LG전자 스마트팩토리 사업담당 송시용 상무는 "2030년에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의 글로벌 플레이어로 조 단위 매출을 내는 사업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팩토리는 설계 및 개발, 제조, 유통 등 생산과정의 디지털자동화 솔루션이 결한된 ICT(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는 지능형 생산공장이다.

LG그룹 계열사들의 생산·제조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는 LG전자 생산기술원이 그동안 진행해 온 생산 컨설팅, 공법.장비 및 생산운영시스템 개발, 생산기술 인력 육성 등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운영 노하우와 기술력을 이제는 외부에 공급해 사업화하겠다는 것이 LG전자의 구상이다.

LG전자 생산기술원이 개발한 자율주행 이동로봇(AMR)이 좁고 빛 반사가 있는 환경에서도 주행하는 모습을 테스트하는 모습. LG전자 제공


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에 뛰어든 배경은 제조업을 둘러싼 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어서다.

△인구절벽 △고령화 △미중 무역분쟁 △리쇼어링(생산시설 국내이전)△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개개인에게 특화된 맞춤 제품.서비스를 대규모로 제공하는 능력) 등이 제조업체에는 굉장한 압박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기업들이 현재의 사업과 미래의 동향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보여주는 조치인 BSI(기업경기실사지수) 제조업 업황 전망은 2011년 6월 기준선(100) 밑으로 떨어진 후 10년 넘게 기준선을 넘지 못하고 있다. 해당 수치가 100 아래라는 것은 제조업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이 긍정적인 전망보다 많다는 의미다.

이에 제조업체들은 자동화와 정보화, 지능화 등을 통해 인력 부족 등 제조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분투중인데 이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것이 LG전자의 복안이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올해 1556억 달러(우리돈 약 214조 원) 규모에서 오는 2030년 2685억 달러(약 37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LG전자는 담당 인력 등을 고려하면 2030년까지 조 단위 수주를 목표로 진력할 방침이다.

(왼쪽부터)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정대화 사장과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 송시용 상무가 18일 평택 디지털파크에서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올 초 전담 조직을 꾸린 후 지금까지의 성과는 나쁘지 않다. 송시용 상무는 "올해 상반기까지 수주규모가 2천억원에 도달했다"며 "올 연말까지 3천억원 규모로 수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주요 고객사는 △이차전지 제조업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물류업체 등인데 LG전자는 향후 △반도체 △제약·바이오 △F&B(식음료) 등의 산업군으로 고객사를 넓힐 계획이다.

시장성장성과 함께 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 사업 진출에 드라이브를 건 또 다른 배경은 해당 사업이 B2B라는 점에 있다.

B2B사업은 B2C(기업.고객간거래)사업보다 상대적으로 경기에 영향을 덜 받고 장기적인 고객 확보가 가능해 안정적인 사업이 가능하다고 평가받는다.

이에 LG전자 조주완 CEO는 지난해 '2030 미래비전' 발표를 통해 회사의 3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B2B를 꼽기도 했다.

LG전자의 '실적 효자'로 등극한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비)에 이어 대표적인 B2B 사업인 HVAC(냉난방공조)를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했는데 여기에 스마트팩토리까지 더할 경우 제품(HW) 중심이던 사업 포트폴리오를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의 무형(Non-HW)의 미래 지향적 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HVAC과 스마트팩토리는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 생산기술원이 개발한 자율주행 이동로봇(AMR)이 부품/자재 공급용 카트를 운반하는 모습. LG전자 제공


관건은 성공 사례 축적과 보안 우려 불식 등이 될 전망이다.

독일 최대 전자·전기회사 지멘스는 스마트팩토리  EWA(Electronics Works Amberg)의 생산성이 종전 대비 8배 이상 증가했고, 제품 불량률은 43분의 1수준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미국의 GE도 인도 공장에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한 첫 해 전체 연료비의 1.5%인 1500만 달러를 절약했다고 밝혔다.

LG전자 역시 당분간 이런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축적하는데 주력할 전망이다.

보안 우려도 과제로 남아 있다. LG전자가 미래 고객으로 염두에둔 반도체와 제약·바이오 등은 어느 산업군보다 첨단 기술과 그에 대한 보안이 철저한 분야다.

송시용 상무는 "양사에서 법무적으로 헷징(위험을 분산)한 상태에서 들어가고 해당 고객만이 알고 있는 특화된 기술이 아니라 물류, 패키징 등에서 (시작해서 스마트팩토리 대상) 범주를 확대나간다"고 설명했지만 이는 LG전자가 자사의 강점으로 꼽는 '기획부터 설계, 구축,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체 과정을 아우르는 솔루션'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정대화 사장은 "우리나라 제조업계의 최근의 위기 상황을 기술로 극복하겠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다"며 "스마트팩토리를 주축 사업으로 육성해 국내 공장들이 어느정도 스마트화 된다면 해외의 저가 생산기지 못지 않게 국내 제조산업이 경쟁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sykim@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