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다큐의 영역에도 K오컬트가 탄생했다('샤먼: 귀신전')
[엔터미디어=정덕현] "뭣이 중헌디?"라는 유행어까지 남긴 영화 <곡성>에서부터 최근 <파묘> 신드롬까지 이어진 오컬트 영화들과, <손 the guest>에서부터 <방법>, <지옥>에 이르는 오컬트 드라마들이 독특한 우리식의 오컬트 장르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면, 이제 그 'K오컬트'라 불리는 영역 안에 다큐멘터리도 한자리를 차지할 듯싶다. 바로 티빙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샤먼: 귀신전>이 그것이다.
사실 실제 무당들이 등장해 귀신에 괴롭힘을 당하거나 혹은 귀신에 빙의되어 고통을 겪는 이들이 겪는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샤먼: 귀신전>은 어딘가 오싹한 면이 있다. 첫 번째 사례자의 경우만 봐도 눈앞에 점점 가까이 나타나는 귀신의 형상이 낮이고 밤이고 계속되는 그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러울 지가 실감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컬트적 이야기를 그리 즐기지 않는 분들에게는 진입장벽이 있을 수 있지만, 막상 보다보면 눈을 뗄 수 없는 서사가 펼쳐진다.
오컬트 장르물들이 가진 서사가 그러하듯이, 고통받는 사례자와 그 사연을 접하고 그 사례를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들어보는 과정의 섬뜩함이 전면에 이어진다면, 이를 해결해주는 인물로서 무당이 등장해 불가해했던 사건들을 무속의 언어들로 풀어주고 굿을 통해 귀신을 떼어내고 귀문을 닫아주는 그 일련의 과정들이 펼쳐진다. 그 과정 속에서 과거 사례자에게 있었던 사건들이 등장하고 귀신 들리게 된 이유가 무당의 입을 통해 제시될 때는 그것이 영화나 드라마가 아닌 실제 다큐멘터리라는 사실에 소름이 돋는다. 그리고 드디어 문제를 해결한 사례자가 평화로운 삶으로 돌아간다.
<샤먼: 귀신전>은 고통받는 사례자와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고 그걸 풀어주는 과정을 담는 오컬트 장르물들이 가진 기본적인 서사를 따라가면서, 무속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가를 되짚는다. 그것은 다름 아닌 '치유'의 의미와 가치다. 지금이야 현대의학이 대부분의 질환들을 치료하지만, 100년 전만 해도 아픈 병자들을 고치는 1차 방어선이 한의학이었고 2차 방어선이 바로 무속이었다는 것. 약초에도 해박한 무당들은 그래서 한의사들과 함께 아픈 이들을 치유해주는 역할을 수행했다는 거였다.
<샤먼: 귀신전>이 가진 무속에 대한 '치유'의 관점은, 과거 한국의 무속을 연구했던 인류학 박사 로렐 켄달이 "귀신의 존재를 믿느냐"는 질문에 한 답변에도 담겨 있다. "'믿느냐'는 잘못된 질문 방식이다. 제가 생각하는 올바른 질문의 방향은 '믿느냐'가 아닌 '효과가 있느냐'인 것 같다." 그 말은 무당들의 역할이 믿는가 아닌가의 차원이 아니라 실제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을 치유하는 효과가 분명 있었다는 것이고, 그러니 무속이 그만한 의미를 갖는다는 이야기다.
계속 신의 부름을 거부하다 아이까지 알 수 없는 병으로 고통받게 되자 끝내 신내림을 받기로 결심하고 그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자의 경우는 무당이 되는 일이 얼마나 자기 희생을 필요로 하는가를 절감하게 해주는 사례이다. 끝까지 안하고 싶어 왜 하필 나냐고 눈물을 쏟아내는 사연자에게 엄마 역시 무당이라 그 신내림을 끝까지 도와주는 엄마가 그런 딸을 보며 흘리는 눈물은 오컬트 장르적 서사로만 채워질 줄 알았던 <샤먼: 귀신전>에 의외로 진한 감동을 선사한 가족서사였다.
그 누가 자신의 딸을 그 어려운 무당의 길로 들어서게 해주고 싶었을까. 하지만 그것을 회피할 수 없다는 걸 알게 된 엄마는 딸이 신내림 받는 걸 도와주며 서러움의 눈물을 흘리고, 신들에게 딸을 부탁한다는 말을 남긴다. 그 절절한 과정은 무당이라는 업이 가진 무게감을 드러낸다. 그저 갑자기 신병이 들어 그걸 해결하기 위해 되는 게 무당이 아니라, 어려운 이들을 돕는 역할을 부여받아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받아들이게 된 이들이 무당이라는 것이다.
<샤먼: 귀신전>은 이처럼 우리가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보던 다소 피상적인 무속에 대해 한 발 더 다가가 그 실체에 접근하는 다큐멘터리다. 한 편의 오컬트 장르를 보는 듯한 드라마틱한 스토리텔링이 들어있지만, 다큐멘터리 특유의 진실에 접근해가는 진지함이 돋보이고 나아가 무당의 업을 물려받는 자들의 가족 서사 같은 진한 감동도 담겨있다. 다큐멘터리로서 K오컬트의 탄생을 이야기해도 될 법한 재미와 완성도가 충분한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티빙]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예능 하려는 박명수와 진짜 몰입하는 박보검 사이(‘My name is 가브리엘’) - 엔터미디어
- 제아무리 연기 잘하는 김하늘·정지훈도 요령부득, 고개 갸웃해진 ‘화인가 스캔들’ - 엔터미디
- 윤병희, 코믹 연기를 너무 잘해 존재감이 주연급인 이 배우(‘낮밤그녀’) - 엔터미디어
- 신하균의 피로 가득한 충혈된 눈에 또 빠져드는 이유(‘감사합니다’) - 엔터미디어
- 연기력으로 업계 평정한 이정은에게조차 새로운 도전, ‘낮과 밤이 다른 그녀’ - 엔터미디어
- 삐걱대던 장나라와 남지현은 ‘굿파트너’가 될 수 있을까 - 엔터미디어
- 이제훈의 탈북에서 우리네 청춘들의 탈주가 읽히는 까닭(‘탈주’) - 엔터미디어
- 강형욱마저... 잘 나가던 전문가 전성시대 왜 흔들리고 있을까 - 엔터미디어
- 화장실 갈까 봐 물도 안 마시는 고민시가 만든 ‘서진이네2’의 색다른 서사 - 엔터미디어
- 설경구와 김희애의 육탄대결을 선택한 ‘돌풍’의 속내 - 엔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