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CXL, 4년후 메모리 주류"… AI 수요대응 나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장석(사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신사업기획팀장(상무)가 18일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2028년에는 메모리업계의 메인스트림(주류)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기존 D램의 용량·성능 확장 한계를 개선한 CXL 기반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인공지능(AI) 수요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최 상무는 이에 따라 고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용량 확장이 용이한 CXL 기반 D램 제품이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장석(사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신사업기획팀장(상무)가 18일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2028년에는 메모리업계의 메인스트림(주류)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삼성전자는 기존 D램의 용량·성능 확장 한계를 개선한 CXL 기반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인공지능(AI) 수요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최 상무는 18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태평로빌딩에서 'CXL 솔루션'을 주제로 설명회를 가졌다. CXL은 '빠르게 연결해서 연산한다'는 의미로 CPU(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처리장치), 스토리지 등의 다양한 장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해 보다 빠른 연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또 CXL 기반의 D램인 CMM-D(CXL 메모리 모듈-D램)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서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현재 AI 수요와 발달이 가속화 되면서 AI 학습, 추론 데이터 처리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서버에서 사용하던 D램은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용량을 확장할 수 있어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대규모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 상무는 이에 따라 고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용량 확장이 용이한 CXL 기반 D램 제품이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센터나 서버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서버를 증설해야 했지만, 기존 서버에서 SSD를 꽂던 자리에 그대로 CMM-D를 꽂아 사용하면 편리하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작년 5월 개발 완료한 'CXL 2.0 D램'은 업계 최초로 '메모리 풀링' 기능을 지원한다. 메모리 풀링이란 서버 플랫폼에서 다수의 CXL 메모리를 묶어 풀을 만들고, 각각의 호스트가 풀에서 메모리를 필요한 만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면 CXL 메모리의 전 용량을 유휴 영역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병목현상이 줄어든다. 데이터센터의 경우에도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으로 서버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총 소유 비용(TCO) 절감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2021년 5월 업계 최초 CXL 기반 D램 제품 개발을 시작으로, 업계 최고 용량 512GB CMM-D 개발하고, 업계 최초 CMM-D 2.0 개발에 성공하는 등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지난 3월 글로벌 반도체 학회 '멤콘 2024'에서는 CXL 기반 D램인 CMM-D, D램과 낸드를 함께 사용하는 CMM-H, 메모리 풀링 솔루션 CMM-B 등의 CXL 기반 솔루션을 선보였다.
올해 2분기에는 CXL 2.0을 지원하는 256GB CMM-D 제품을 출시하고, 주요 고객사들과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또 업계 최초로 리눅스 업체 레드햇으로부터 인증 받은 CXL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CXL 관련 제품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서버 전 구성 요소를 삼성 메모리 리서치 센터에서 검증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CXL 컨소시엄을 결성한 15개 이사회 회원사 중 하나로, 메모리 업체 중 유일하게 이사회 멤버로 선정되어 CXL 기술의 고도화 및 표준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삼성전자르 비롯해 알리바바 그룹, AMD, Arm, 시스코 시스템즈, 델 EMC, 구글,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화웨이, IBM, 인텔, 메타, MS, 엔비디아, 램버스 등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019년 CXL 컨소시엄 발족 초기부터 글로벌 주요 데이터센터, 서버, 칩셋, 메모리 업체 등과 함께 CXL 생태계 확산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뒤집힌 벤츠 버리고 도주한 40대, 5일만에 나타나 "음주 안했다""
- "새 아파트 어떻게 지었길래…비 내리는 엘리베이터, 분통"
- "공주옷 입고 총쏘고 탱크 몰고"…`190만원 전쟁놀이`에 빠진 중국 MZ세대들
- "아버지도 가짜"…망상 시달리다 흉기로 아버지 살해한 20대 딸
- 애완고양이에 손물린 아이, 한달만 `광견병`으로 숨져
- 韓 "여야의정 제안 뒤집고 가상자산 뜬금 과세… 민주당 관성적 반대냐"
- [트럼프 2기 시동] 트럼프, 김정은과 협상할까… "트럼프 일방적 양보 안 할 것"
- 내년 세계성장률 3.2→3.0%… `트럼피즘` 美 0.4%p 상승
- `범현대 3세` 정기선 수석부회장, HD현대 방향성 주도한다
- "AI전환과 글로벌경쟁 가속… 힘 합쳐 도약 이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