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교육 못 받는 이주노동자…지원조차 부족
[KBS 부산] [앵커]
최근 화성 리튬배터리 공장 화재로 숨진 23명의 노동자 가운데 18명이 이주노동자였습니다.
언어와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이주노동자들의 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안전교육은 더 철저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현장 교육은 부실하고, 관련 예산은 오히려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선박 연료 탱크 제조업체에서 일하던 이 이주노동자는 지난해 11월, 탱크 위에 올라갔다 2m 높이에서 추락해 인대가 파열됐습니다.
안전모나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하지만 안내조차 받은 적이 없습니다.
사고 후 몇달 뒤, 30분 짜리 안전교육을 처음 받았지만 대부분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이주노동자/음성변조 : "사고날 때 모자도 안 썼어요. (교육은)한 번 받았습니다. 사고 난 후에. 잘 못 알아 들었어요."]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안전교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산업재해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이주노동자 상담자/음성변조 : "(안전교육은) 너무 기본적인 거고, 매일매일 사업장 쪽에 조금 체크해야 하는 부분이거든요. (상담해보면) 형식적으로 진행하지 않았을까, 대부분 그런 분위기인 것 같고…."]
지난해 이주노동자들의 업무상 재해율은 전체의 3.7%로, 한국인 노동자 재해율인 0.66%보다 5배 이상 높습니다.
이주노동자들이 작업 중 부상을 당하는 원인은 실수가 59%로 가장 많지만, 안전교육을 받지 못하거나 사용방법을 몰라서 다친 경우도 전체의 10%를 넘습니다.
전문가들은 언어 지원을 비롯해 산업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안전체계가 시급하다고 말합니다.
[문영만/지역노동사회연구소장 : "이주노동자 대부분이 종사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없거나 있더라도 대부분이 한국인입니다. 전문인력과 통역지원 서비스 등 산업안전보건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올해 한국으로 입국한 이주노동자는 16만 5천여 명.
하지만 정부는 민간 위탁으로 운영하는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예산을 1/4 수준으로 삭감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명진
김아르내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체코, 신규 원전 우선협상대상자로 한수원 선정
- 순식간에 잠겼다…시청자 제보 영상으로 본 호우 피해
- 800억 대 전세사기 피고인, 버젓이 또 임대사업…허술한 법망 노려
- ‘제습기’ 성능 최대 2배 차이…전기 요금도 제각각
- [단독] 홍명보 감독, 손흥민 만난다…유럽파 점검 본격 행보
- [단독] 출소한 코인왕 ‘존버킴’에 또 다시 구속
- “음주운전 꼼짝마”…육아휴직 경찰·시민 도움으로 덜미
- 아파트 ‘펑’ 화재…1명 숨지고 30여 명 대피
- ‘집단 마약’ 적발된 그 클럽, 다시 가봤다 [취재후]
- “수산물 싼 가격에 팔겠다” 음식점 상대 사기 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