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K푸드 더 커진다...현지화·세분화 관건”

박홍주 기자(hongju@mk.co.kr) 2024. 7. 17. 1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K푸드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을 세분화해 메뉴를 각국에 맞춰 세분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고서는 "여러 기업이 국내 생산 후 수출이라는 기존 방식을 넘어, 해외 현지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해 판매하는 점을 고려하면 K푸드 성장률은 더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현재는 해외시장 진출 초창기 수준으로, 지역 및 카테고리 확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고성장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푸드 수출액 10년새 60% 뛴 15조원
현지 진출 포함하면 성장세 더 높아
“수출절차·인프라 구축 등 정부 지원 필요”
K푸드 수출액 추이 <사진=삼일PwC>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K푸드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을 세분화해 메뉴를 각국에 맞춰 세분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인의 매운맛: K푸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의 식음(F&B) 수출액이 지난해 107억 달러(약 14조8000억원)를 기록하며 10년 전보다 약 60% 성장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여러 기업이 국내 생산 후 수출이라는 기존 방식을 넘어, 해외 현지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해 판매하는 점을 고려하면 K푸드 성장률은 더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K푸드 해외 시장에 대한 낙관적 전망도 제기됐다.

△국내기업의 고도 제품 경쟁력 △만두·라면·김밥 등 식사 대용식으로서의 잠재력 확보 △K콘텐츠를 통한 한국문화 관심 지속 △외식물가 상승으로 인한 집밥 및 냉동식품 수요 증가 등을 근거로 들었다.

보고서는 “현재는 해외시장 진출 초창기 수준으로, 지역 및 카테고리 확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고성장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K푸드 성장 위한 삼일PwC 제언 <사진=삼일PwC>
이 같은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기업은 현지화·세분화·고유성 3가지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현지인의 입맛과 인프라스트럭처(콜드체인), 원재료 수급 등 상황을 고려해 제품을 현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동·남미·인도 등 신규 시장으로 넓히되 선진 시장은 세분화해 접근해야 한다는 점도 짚었다.

김치·만두 등 고유 명칭으로 개별 F&B 상품의 고유성을 확립하는 것도 과제로 제안했다.

예를 들어 만두는 영어식 표현 ‘덤플링(Dumpling)’ 대신 한국식 표현인 ‘만두(Mandu)’라는 명칭을 내세웠지만 제품력과 현지 유통망으로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불닭볶음면 등 매운맛 볶음면의 경우 현지 입맛에 맞추지는 않았지만 한류 문화 등을 통해 성공 사례를 썼다.

정부는 국가간 경제외교 등으로 교류를 넓혀 국내 기업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넓혀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국내 인증을 기반으로 수출 상대국에서 수입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외 수출에 필요한 물류 인프라 구축, 대기업·중소기업 간 협업을 독려하는 인센티브 제공 등도 정부의 제도적 과제로 꼽았다.

정낙열 삼일PwC 소비재산업부문 리더(파트너)는 “내수 시장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시작된 음식료 산업의 해외 진출이 이제 본격적으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기술 투자와 마케팅 전략뿐 아니라, 수출 대상국의 수입절차 간소화·물류 인프라 구축 등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