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에 이어 K푸드, 10년 사이 60% 성장

김현정 2024. 7. 17. 09: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경제의 위상이 높아지고 K-콘텐츠 파급력이 커지면서 K-푸드(Food)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K-푸드 인기 품목이 만두, 라면, 김밥 등으로 확장되고, 국내 기업들이 현지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향후 K-푸드 시장은 지금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 경제의 위상이 높아지고 K-콘텐츠 파급력이 커지면서 K-푸드(Food)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K-푸드 인기 품목이 만두, 라면, 김밥 등으로 확장되고, 국내 기업들이 현지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향후 K-푸드 시장은 지금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7일 삼일PwC가 발표한 보고서 ‘한국인의 매운맛: K-푸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음식료 수출액은 코로나19 이후 성장이 가속화되며 10년 전보다 60% 성장한 107억 달러(약 14조 8000억 원)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향후 K-푸드 성장이 지속된다고 전망하는 근거로 △국내 기업이 가진 고도의 제품 경쟁력 △만두, 라면, 김밥 등 식사 대용 식품으로 해외 관심 커지며, 다양한 품목에 대한 수출 잠재력 확보 △K-콘텐츠 완성도 향상으로 한국문화 관심 지속 △외식 물가 부담 커지며 집밥 및 냉동식품 수요 증가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현재는 해외시장 진출 초창기 수준으로, 지역 및 카테고리 확장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고성장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K-푸드 확산을 위해 기업이 취해야 할 전략으로 첫째, 현지인 입맛과 인프라(콜드체인), 원재료 수급 등을 반영해 제품을 현지화 할 것, 둘째, 중동∙남미∙인도 등 신규 시장을 넓히고 선진 시장을 세분화할 것, 셋째, 김치, 만두 등 고유 명칭 사용해 브랜드의 고유성을 확립할 것 등을 제안했다.

특히 보고서는 만두, 매운맛 볶음면, 냉동 김밥 등 K-푸드 성공 사례를 분석해 눈길을 끌었다. 만두는 영어식 표현인 ‘덤플링(Dumpling)’ 대신 한국식 발음인 ‘만두(Mandu)’라는 생소한 명칭을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제품력과 현지 유통망을 활용해 시장 내 입지를 구축했다. 매운맛 볶음면의 경우, 굳이 현지 입맛에 맞추지 않아도 독창적인 맛, 한류 문화 등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선례를 남겼다.

정낙열 삼일PwC 소비재산업부문 리더(파트너)는 “내수 시장의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시작된 음식료 산업의 해외 진출이 이제야 본격적으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며 “기업들이 고도의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해외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기술 투자와 마케팅 전략뿐만 아니라 수출대상국의 수입절차 간소화, 물류 인프라 구축 등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일PwC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