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균의 어반스케치] 가지 않은 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요일도 일 나간다.
전문 용어로 스튜디오, 이놈의 일터는 일의 양과 시간을 규정할 수 없다.
보장된 임금도 휴일도 없다.
어쩌면 자연의 현상계는 스스로 무너지거나 잊혀 가는 과정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요일도 일 나간다. 전문 용어로 스튜디오, 이놈의 일터는 일의 양과 시간을 규정할 수 없다. 보장된 임금도 휴일도 없다. 나는 미술 노동자다. 살모사의 혓바닥같이 이글대는 땡볕 속을 한 시간쯤 걸었다. 늘 같은 길이 지루해 다른 골목으로 방향을 선회한다. 뜻밖의 멋진 풍경과 마주했다. 반갑다. 이 풍경만으론 도시의 이미지가 아니다. 오래된 시골 정경이다.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 같지만 단란했던 한 시절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고향 집이 떠오르면 가슴 저린다. 부모 형제 떠난 빈집이 많이 손상돼 잡초만 무성하다. 그립지만 갈 용기가 나지 않는다. 함께 살아왔던 아픈 추억들이 무너져 가는 안타까움 때문이다. 어쩌면 자연의 현상계는 스스로 무너지거나 잊혀 가는 과정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비 오는 날 어머니는 부추전을 부치셨다. 홍고추가 살짝 들어간 매콤한 전을 아버지는 주문하셨다. 막걸리 안주에 이만한 게 없다. 그 추억이 점점 멀다. 사람의 힘으로도 잡지 못하고 순응해야 하는 게 세월, 이런 시 한 편이 기억 난다.
“내 인생 단 한 권의 책/속수무책/대체 무슨 대책을 세우며 사냐 묻는다면/척하고 내밀어 펼쳐줄 책/썩어 허물어진 먹구름 삽화로 뒤덮여도/진흙 참호 속/묵주로 목을 맨 소년 병사의 기도문만 적혀있어도/단 한 권/속수무책을 나는 읽는다 (중략) 대체 무슨 대책을 세우며 사냐 묻는다면/ 독서 중입니다, 속수무책.” –김경후 ‘속수무책’ 중에서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李 대통령, 정의선·구광모 만나…"정부·기업 원팀 이어갈 것"
- 강선우 '병원 갑질' 의혹에 입 연 정은경…"방역 지침 지켰어야"
- 경희대, 추계대학축구연맹전 48년 만에 ‘우승 트로피’
- 화홍리더스, 경기도장애인마을 회원 대상 ‘삼계탕데이’
- 과천시의회, 공연예술축제 준비 점검
- 과천 유아체능단, 아이들 놀이터 ‘상상하랑’ 변신
- 안철수, 비대위에 전한길 탈당 권유 압박…“방관은 자해행위”
- 尹 구속적부심, 심문 4시간50분 만에 종료
- 나경원 “李정권 목표는 ‘야당 말살’…없는 죄도 만들어내”
- "여행정보 한가득"...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성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