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진 분양가에 잔금마련 못해…'불 꺼진' 새 아파트가 늘어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서울과 강원 제주 등 지방 아파트 입주율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율은 조사 시점에 입주를 마쳐야 할 아파트 전체 가구 중 이미 입주했거나 잔금을 납부한 주택의 비중이다.
입주율이 낮을수록 분양 잔금을 내지 못한 집이 많아 주택사업자의 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원권은 분양가 급등으로 신규 분양보다 기존 주택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며, 제주권은 인구와 외국인 투자 수요 감소세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서울과 강원 제주 등 지방 아파트 입주율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국적으로 분양가가 높아지고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수요자가 늘어나면서 입주율이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달 전국 입주율이 63.0%로, 5월(63.6%)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고 16일 밝혔다. 올초 70%대였던 전국 입주율은 꾸준히 하강 곡선을 그려 지난 3월부터 넉 달 연속으로 60%대에 머물렀다.
입주율은 조사 시점에 입주를 마쳐야 할 아파트 전체 가구 중 이미 입주했거나 잔금을 납부한 주택의 비중이다. 입주율이 낮을수록 분양 잔금을 내지 못한 집이 많아 주택사업자의 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76.5%→77.6%)과 5대 광역시(62.3%→63.5%)의 입주율은 올랐다. 지난달 서울 입주율은 79.2%로 전달보다 5.1%포인트 하락했다. 주택산업연 관계자는 “서울 대부분 아파트 가격이 신생아 특례대출(9억원 이하 주택 대상) 등 정책 대출 가능 한도 금액을 넘어서면서 잔금 대출을 확보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방 중 강원권 입주율은 지난달 45.0%로 2017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았다. 제주 입주율도 58.1%로, 2019년 5월(51.8%) 이후 5년 만에 최저였다. 강원권은 분양가 급등으로 신규 분양보다 기존 주택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며, 제주권은 인구와 외국인 투자 수요 감소세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계약자가 입주하지 못한 원인으로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41.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잔금 대출 미확보’(22.6%), ‘세입자 미확보’(20.8%) 등이 뒤를 이었다.
이달 입주 체감 경기도 좋지 않을 전망이다.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8.5로, 전달보다 6.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91.6→77.4)이 14.2포인트, 광역시(84.9→80.0)가 4.9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해당 지수가 기준점(100)을 밑돌수록 입주 전망이 좋지 않다는 의미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 때 지은 아파트 무조건 피해라"…경고 나온 이유 [돈앤톡]
- "모자랐던 전세금 채웠어요"…현대로템 개미들 '환호' [종목+]
- "1000만원 들여 환갑 여행 예약했다가…" 초유의 사태에 분통
- "한 달간 200명 쏘였다"…휴가철 앞두고 동해 해수욕장 '비상'
- 하루 2200조 왔다갔다…"미친 짓" Z세대 도박장 논란에 결국
- "남는 게 있나"…다이소, 또 3만원짜리 '3000원'에 내놨다
- "그 돈이면 해외 간다더니"…제주에 관광객 '우르르' 몰린 이유
- "코로나 때 지은 아파트 무조건 피해라"…경고 나온 이유 [돈앤톡]
- "아파트는 '얼죽신'이 최고"…요즘 MZ 부부들 몰리는 동네
- "초점 나간 삼성 카메라 있어요?"…2030 싹쓸이한다는데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