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졸업 후 첫 취업까지 11.5개월 '역대 최장'

이연우 기자 2024. 7. 16. 14: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년들이 졸업 후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조사됐다.

또 미취업자 5명 중 1명은 3년 이상 일자리를 잡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기준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15~29세)이 첫 취업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분석됐다.

진학 준비가 증가하면서 미취업 기간과 취업 소요 기간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이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년들이 졸업 후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조사됐다.

또 미취업자 5명 중 1명은 3년 이상 일자리를 잡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지난 5월 기준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15~29세)이 첫 취업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분석됐다. 지난해보다 1.1개월 늘어난 수준이면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역대 가장 긴 기간이다.

절반가량(47.7%)은 첫 일자리를 잡는 데 3개월이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30.0%는 ‘1년 이상’, 9.7%는 ‘3년 이상’ 걸린다고 답했다. 특히 3년 이상 걸리는 비율은 작년(8.4%)보다 1.3%포인트(p) 늘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고졸 이하가 지난해 1년 2.8개월에서 1년 5.6개월로 2.8개월 늘었다. 대졸 이상도 8.2개월에서 8.3개월로 늘었다.

최종학교 졸업자 중 지난 5월 현재 취업하지 않은 사람은 2만9천명으로 작년보다 129만명 늘었다.

취업하지 않은 사람을 기간별로 살펴보면 ‘6개월 미만’이 전국 52만5천명으로 40.7%를 차지했다. ‘3년 이상’은 작년(21만8천명)보다 2만명 늘었다. 비중도 17.3%에서 18.5%로 높아졌다.

통계청 제공

미취업 기간 주된 활동을 보면 여가활동과 진학준비 등을 포함한 '그외' 활동이 22.1%로 5.9%p 높아졌다. 통계청은 이는 진학준비 비율이 높아진 영향으로 보고 있다.

반면 직업교육·취업시험 준비(-3.1%p), 구직활동(-1.6%p), 그냥 시간보냄(-0.7%p), 육아·가사(-0.4%p) 등은 하락했다. 진학 준비가 증가하면서 미취업 기간과 취업 소요 기간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는 지난해보다 6만9천명 줄어든 56만5천명이었다. 3년째 감소세다.

준비 분야를 보면 일반기업체가 작년보다 2.4%p 높아진 29.7%로 가장 많았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일반직 공무원 준비(23.2%)를 넘어섰다.

이어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18.9%) ▲고시 및 전문직(12.7%) ▲언론사·공영기업체(11.8%) 등 순이다.

이연우 기자 27yw@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