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한류시장 274조로 성장.. 숏폼 활용 해외진출 기회 잡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류 시장의 잠재력이 오는 2030년 1980억 달러(약 274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한류 수용성과 시장 잠재력이 높은 미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등을 중심으로 숏폼(짧은 영상) 플랫폼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류 관련 구매 경험이 없는 잠재 소비자까지 포함하면 한류 시장의 잠재력은 2030년 약 1980억 달러(약 274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손현호 틱톡코리아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제너럴 매니저(GM, 사진)는 15일 서울 강남에서 진행된 '2024 상반기 트렌드'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틱톡 사용자의 86%가, 동남아시아 사용자 76%가 틱톡을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해 알게 된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 같이 예측했다. 틱톡은 글로벌 마케팅 데이터·분석 기업 칸타와 공동연구를 통해 '숏폼 시대의 한류: 짧고 강력한 콘텐츠로 승부하다' 백서를 이날 발간했다.
미국,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에서 약 2000여 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한류의 영향력은 점차 커지고 있으며, 한류 콘텐츠가 글로벌 각지로 뻗어나가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백서에 따르면 글로벌 한류 지출 규모는 올해 기준 760억 달러(약 105조원)에 달하며, 2030년까지 두 배 가까이 증가해 1430억 달러(약 198조원)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류 관련 구매 경험이 없는 잠재 소비자까지 포함하면 한류 시장의 잠재력은 2030년 약 1980억 달러(약 274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손 GM은 "한류의 시작은 케이팝(K-POP)이었지만, 최근 K-드라마를 통해 빠른 속도로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스타일의 수용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이제 동남아 소비자는 K-드라마와 K-팝 때문에 한국 제품과 브랜드나 한국 스킨케어 제품에 더 관심을 갖게 됐고 미국,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사용자의 57%는 한국 웹툰이나 드라마를 보고 한식을 경험했다"고 전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관계 중 나도 모르게 대변이"..30대女, 원인 알 수 없어 '참담' [헬스톡]
- 796명 영아 시신, 수녀원 폐하수조서 발견…아일랜드 유해 발굴 착수
- 아내 불륜 상대가 배달 기사? "집으로 같이 들어가"
- 신지, '문원 딸 재산 상속' 우려 댓글에 "그런 일 없을 것"
- 보아, 데뷔 25주년 콘서트 취소 "급성 괴골사 진단"
- 장근석, 갑상선암 투병 고백 "가족에게도 말못했다"
- '옥중화'·'파도야 파도야' 강서하, 투병 끝 사망…향년 31세
- '尹 재구속' 남세진 부장판사는 누구…'차분·합리적 스타일'
- 화장품 대박 친 'CEO 조민'...국내 완판하더니 태국 직행
- "사랑이 죄인가요"…직장상사와 불륜 저지른 女의 억울함 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