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새 반토막 난 세종 집값… “부동산 침체·과도한 입주 물량 영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상승기 때 유례 없는 가격 급등을 기록했던 세종의 아파트값이 몇 년 새 반토막나는 등 끝없는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처럼 집값이 하락일로를 걷는 데에는 몇 년 전부터 이어진 전국적인 하락장 영향과 세종시에 예정된 많은 입주 물량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 입주물량 1027가구로 대폭 줄어
“금리 인하 시즌과 함께 실수요자 유입될 것”
부동산 상승기 때 유례 없는 가격 급등을 기록했던 세종의 아파트값이 몇 년 새 반토막나는 등 끝없는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주택 시장 침체와 분양물량 등 공급 과잉이 이뤄지면서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주 세종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14%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이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은 0.24% 상승했다. 이에 대해 한국부동산원은 “공급물량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고운·반곡동 및 조치원읍 위주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고운동 ‘가락마을 19단지’ 아파트는 전용면적 84㎡ 매물이 지난 2020년 7월 8억2500만원에 거래됐지만, 지난달에는 4억1000만원에 거래되면서 반토막이 났다. 고운동 ‘가락20단지 베르디움’ 아파트 전용면적 84㎡ 역시 지난 2020년 12월 7억원에 거래됐지만 지난 1일 3억7000만원에 거래되면서 3년 6개월여 만에 52.9% 수준으로 가격이 급락했다.
인근 ‘가락7단지 프라디움’은 전용면적 84㎡가 2020년 12월 8억5000만원에 매매됐지만 지난 1일 4억4900만원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집값이 하락일로를 걷는 데에는 몇 년 전부터 이어진 전국적인 하락장 영향과 세종시에 예정된 많은 입주 물량이 큰 영향을 미쳤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예정된 세종의 입주물량은 3616가구다. 세종은 지난해에도 3092가구가 입주하면서 몇 년째 대량 입주가 이어져왔다. 다만 내년에는 1027가구로 입주물량이 대폭 줄어든다.
이 때문에 입주 물량 감소와 함께 금리 인하까지 실현된다면 세종시 집값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세종은 국회 분원 설치 등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지만 인구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고, 지방에서는 상승을 주도하는 바로미터 지역”이라면서 “내년 입주물량이 줄고,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흐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벽’ 넘은 엔비디아 젠슨 황의 묘수… ‘H20 공급 재개’ 막후 비화
- 美 사과·소고기 넘어 육포·소시지도 밀려오나… 감자·복숭아는 수입 ‘사정권’
- “주식으로 재테크할래요” 처음으로 부동산 제쳤다
- 현대건설, 압구정 전 지역 재건축 수주전략 꼬였다…소송전 등 돌발변수 발생
- “차라리 입대할래요” 도제학교 취업률 높지만…학생 이탈에 중소기업 ‘울상’
- [Why] LG생활건강은 왜 에이피알에 밀렸나
- [단독] 서부발전, 스웨덴·핀란드 풍력사업 청산... 480억원 대 손실
- [비즈톡톡] 장관·수석 배출한 네이버, 명실상부한 ‘일류기업’… 어깨 무거워진 이해진
- 韓 전력기기, 6년치 일감 확보… 美 변압기 시장 ‘초호황’
- 압구정 2조6000억 땅 주인 놓고 서울시·조합·현대건설, 소송전 전망…재건축 지연 가능성 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