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피서철 '납량'에 담긴 우리말 문법들

2024. 7. 15. 15: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납량은 간혹 '납양', '납냥', '남량' 등 표기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들일 납, 서늘할 량'으로 구성된 이 글자는 한글맞춤법의 두음법칙에 따라 '납량'으로 적는다. 두음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나타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Getty Images Bank


‘오뉴월 장마’라고 한다. 예전에 음력을 쓰던 시절에 생긴 말이니 지금으로 치면 양력 6, 7월께다. 장마 뒤에는 본격적인 무더위가 다가온다. 이즈음 급격히 늘어나는 말이 ‘피서’다. 피서(避暑)는 ‘피할 피, 더울 서’ 자를 쓴다. ‘더위를 피해 시원한 곳으로 옮기다’란 뜻이다. 역대급 더위가 예상되는 올해는 해수욕장도 예년보다 빨리 개장했다. 요즘은 호캉스(호텔+바캉스)를 비롯해 다양한 피서 방법이 있지만 우리 조상들은 숲속 계곡물을 찾아 발을 담그고 노는 것을 최고의 피서로 꼽았다.

 ‘납량’은 ‘서늘함을 느끼다’란 뜻

“복더위 찌는 날에 맑은 계곡 찾아가/ 옷 벗어 나무에 걸고 풍입송 노래하며/ 옥 같은 물에 이 한 몸 먼지 씻어냄이 어떠리.” ‘해동가요’를 펴낸 조선 영조 때 가객 김수장의 시조다. 여기 나오는 ‘풍입송(風入松)’은 고려 시대의 가요로, 태평성대를 기원하고 왕덕(王德)을 찬양하는 노래다. 김수장이 그려낸 복더위 피서법을 ‘탁족(濯足)’이라고 부른다. 한여름에 산수 좋은 곳을 찾아 계곡물에 발을 씻으며 노는 것을 가리킨다. 고을의 선비들끼리 계모임처럼 ‘탁족회(濯足會)’를 만들어 계곡으로 놀러가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다.

삼복더위를 쫓기 위해 예로부터 ‘피서’와 함께 ‘납량’이란 말을 많이 썼다. ‘납량’은 ‘들일 납(納), 서늘할 량(凉)’ 자로, 글자 그대로 ‘서늘함을 들이다’란 뜻이다. 여름철에 더위를 피해 서늘한 기운을 맞는 것을 나타낸다. 서울의 지역명 ‘청량리(淸凉里)’에 이 ‘서늘할 량(凉)’ 자가 들어있다. 조선 시대만 해도 이 일대가 수목이 울창하고 맑은 샘물이 흘러 늘 맑고 서늘한 바람이 불었다고 해서 ‘맑을 청(淸)’ 자를 더해 ‘청량(淸凉)’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글자 뜻으로만 보면 ‘납량’은 더위를 피한다는 ‘피서’보다 좀 더 적극적인 의미를 담은 말임에 틀림없다. “우리 선조들은 부채를 이용해 돈이 들지 않는 납량을 즐겼다” 같은 게 이 말의 용례다. 조선 후기 풍속화가 신윤복이 그린 ‘수하납량’(樹下納凉, 나무 그늘에서 서늘함을 맞다), ‘납량만흥’(納凉漫興, 서늘함을 맞아 흥취가 절로 일어나다) 같은 그림에서도 이 말의 쓰임새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요즘은 ‘납량’이라 하면 자칫 으스스하고 무서운 것으로 여긴다. 아직 확실치는 않지만 부분적으로 의미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셈이다. 아마도 2010년 전까지만 해도 여름철만 되면 각 방송사에서 경쟁적으로 ‘납량특집’ 같은 이름으로 공포물을 내보낸 데서 비롯된 게 아닌가 싶다.

 두음법칙·자음동화·비음화 현상 담겨

납량은 간혹 ‘납양’, ‘납냥’, ‘남량’ 등 표기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들일 납, 서늘할 량’으로 구성된 이 글자는 한글맞춤법의 두음법칙에 따라 ‘납량’으로 적는다. 두음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나타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글맞춤법 제10~12항에서 여러 유형의 두음법칙을 규정하고 있다. 가령 제11항에선 한자음 ‘랴’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야’로 적는다고 했다. 물론 단어 첫머리가 아닌 경우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래 음대로 ‘랴’로 적는다. ‘양심(良心)’과 ‘우량(優良)’은 그런 원칙에 따라 적은 사례다. ‘납량’ 역시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적는 것이다.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발음이 어렵다. ‘납량’을 [납양]을 거쳐 [나뱡]으로 읽는 사례가 많다. 하지만 [남냥]이 정확한 발음법이다. 여기에 적용된 문법을 알아둘 만하다. 우선 우리말에서 ‘ㄹ’은 특정 자음 뒤에서 ‘ㄴ’으로 발음된다. 표준발음법 제19항 규정으로, 특정 자음은 ‘ㄱ, ㅂ, ㅁ, ㅇ’이다. 이를 ‘납량’의 발음에 대입해보자. 우선 ‘ㅂ’ 받침 뒤에 오는 첫소리 ‘ㄹ’은 자음끼리 결합하면서 ‘ㄴ’으로 발음된다. [납냥]이 되는 것이다. 이를 자음동화라고 한다. 이어서 첫음절 받침 ‘ㅂ’이 비음인 ‘ㄴ’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인 ‘ㅁ’으로 바뀐다. [납냥 → 남냥]으로 되는 것이다. 이것을 비음화라고 한다. 표준발음법 제18항에 따른 것이다. 글자 ‘납량’이 발음으로 [남냥]이 되기까지에는 두 번에 걸쳐 동화현상이 일어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