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북한이탈주민과 난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거 '월남귀순자'로 불렸던 탈북민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부터다.
1993년 이전까지 연평균 10명 이내이던 탈북민 수는 1994년을 기점으로 50명 내외로 증가했다.
그러자 2003∼2011년 탈북민은 연간 2000∼3000명 수준까지 급증했다.
중국 내 탈북민 규모는 적게는 5만명, 많게는 20만명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들을 부르는 용어도 달라졌다.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키고자 월남귀순자에서 귀순용사, 귀순동포를 거쳐 2005년에는 새터민으로 불렀다.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이라는 뜻이지만 탈북민 단체가 반발하자 ‘북한이탈주민’으로 바뀌었다. 어제(7월14일)가 법 시행을 기념해 제정된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북한의 인권문제를 강력히 규탄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을 탈출한 동포들이 강제로 북송되지 않도록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하겠다”며 “북한 주민은 대한민국 헌법상 국민으로,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가장 기본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북한을 포함해 중국까지 겨냥한 발언이다. 유엔난민협약상 전쟁이나 폭력, 박해를 피해 자기 나라를 탈출한 사람을 난민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이라면 탈북민은 엄연히 ‘난민’이다. 이들을 생명이 위협받을 곳으로 추방·송환하는 건 협약 위반이다. 정당한 사유가 있어도 고문받을 우려가 있는 곳으로 추방해선 안 되는 게 고문방지협약이다. 중국은 이 두 가지 협약에 가입하고도 귀를 닫고 있다.
중국 내 탈북민 규모는 적게는 5만명, 많게는 20만명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0월 탈북민 500∼600명을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끝나자마자 북송해 국제사회의 지탄을 받았다. 그러고도 최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 “경제적 이유로 입국한 북한 사람은 난민이 아니다”라고 했다. 강제북송을 계속하겠다는 의도다. 이제라도 주요 2개국(G2) 국가 위상에 걸맞은 상식과 지도력을 보여야 한다.
김기동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슴피 목욕, 얼음물 입수… ‘71세’ 푸틴, 영생 꿈꾼다
- “못생겼다” 말 듣고 차인 여성…한국서 180도 변신 후 인생도 180도 바뀌어
- 20대 여성들 대구서 1년반 동안 감금 성매매 당해…주범은 20대 여성
- 일본 여친 만드는 방법은 ‘데이트 앱’?…日신혼부부 앱으로 만나 결혼
- 16살 어린女와 바람난 남편…분노한 아내, 개인정보 공개했다가 ‘명예훼손’ 고소당해
- 아내 몰래 유흥업소 다니던 남편…결국 아내와 태어난 아기까지 성병 걸려
- “용변 급해 내렸는데 고속버스가 떠났어요”…수상쩍은 10대男 ‘블루투스’에 덜미
- “발 냄새 맡자” 전자발찌 찬 40대 여성 성폭행 하려다 또 징역형
- 누가 잘못?…범죄로 교도소 간 아내 vs 위로한 女동료와 사랑에 빠진 남편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