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想과 세상]버렸다, 불 질러 버렸다
기자 2024. 7. 14. 20:38
아버지는 죽은 할머니의 옷가지를 버렸다, 불 질러 버렸다. 마당 귀퉁이에서. 장롱에서 꺼내 온 스웨터. 할머니의 새 옷. 가장 아끼던 피부. 오그라든다. 솟구친다. 연기가 넘친다. 독하다. 마스크도 없이 아버지는 할머니를 한번 더 태운다. 나는 그 옆에서 한번씩 지붕 위로 솟구치는 불씨를 바라본다. 포항은 바람이 많은 도시. 철이 많은 도시. 굴뚝이 많은 도시. 비가 없는 도시. 죽음 앞에서 불 앞에서 나는 심부름을 잘하는 아이. 한나절 동안 아무 말 않고 아버지는 할머니를 버렸다, 불 질러 버렸다. 죽음이 이렇게 가벼운 것이잖아. 해 지는 쪽에서 한번 더 불탄다. 생긴 대로 살라는 말, 생긴 대로 먹으라는 말, 그것이 할머니의 마지막 말. 나는 운동화를 꺾어 신고 풀뱀처럼 울었다. 나에게서 아버지와 똑같은 냄새가 났다. 그을음 같기도 하고 할머니 방 안에 날리던 용각산 가루 같기도 했다. 할머니는 아버지와 나를 버렸다, 불 질러 버렸다. 죽지 못해 살았던 작은 방에서. 이소연(1983~)
“아버지”로 시작해서 “버렸다”로 끝나는 한 문장 안에 그을린 가족의 서사가 순식간에 지나간다. 장례식이 끝나고 집 마당에서 아버지는 할머니의 살갗 같은 옷을 태운다. 연기는 맵고 가슴까지 따끔거린다. 아버지는 “할머니를 한번 더 태”우고, 시인은 하늘로 올라가는 “불씨”를 바라본다.
할머니와 함께 살았던 포항은 “바람”과 “철”과 “굴뚝”이 많은 도시. 아버지는 “한나절 동안 아무 말” 없이 할머니를 버린다. 시인은 “해 지는 쪽에서 한번 더 불”타는 것들을 본다. 아버지는 할머니를 버리려고 했지만, 결국 “죽지 못해 살았던 작은 방에서” 할머니가 아버지를 먼저 버렸던 것. 불을 “질러” 버린 것은 아버지가 아니라 할머니였던 것. 이제 할머니의 마지막 유품은 검은 재가 되었다. 생의 끝인 죽음은 이렇게나 “가벼운 것”이다. “생긴 대로 살”고, “생긴 대로 먹으라”는 것은 할머니의 마지막 말. 이 단순하고 명징한 말을 얻기까지 할머니는 얼마나 많은 그을음을 가슴에 안고 살았을까.
이설야 시인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강선우 전 보좌진 “재취업 방해는 사실···청문회 보며 현타”
- [단독]‘형광등 실험’ 직후 ‘LED’로 한번 더…3.5억 연구비 받은 이진숙 후보자
- 윤석열 “몰랐다”, 드론사령관 “윤 지시 없었다”···외환 당사자 혐의 부인
- 시신 이미 부패한 상태로···청주서 80대 노부부 숨진 채 발견
- 자녀들과 함께 베트남 체류 ‘김건희 집사’ 체포영장 청구
- 강선우 포기하면 ‘줄낙마’ 우려…고심하는 대통령실
- “트럼프, 젤렌스키에 ‘모스크바 칠 수 있나’ 물어”···젤렌스키 “물론, 무기만 준다면”
- [윤지호의 투자, 함께 고민하시죠]‘욕망의 상징자본’ 강남아파트 대신 주식으로 넘어오면 ‘
- 시험지 빼내려고 학교 침입한 학부모 구속…학생은 전 학년 0점 처리
- 권오을 “대한민국 시작, 1919년 임시정부”…건국절 논란엔 “소모적 논쟁은 지양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