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우했던 그녀, 절대로 될리 없다는 ‘이것’ 개발한 사연 [Books]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공로로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헝가리 출신의 생화학자 커털린 커리코 헝가리 세게드대 교수(69)는 최근 국내에 번역 출간된 자서전 ‘돌파의 시간’에서 처음 코로나19 백신의 접종이 시작됐을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학계가 DNA에 열중할 때 홀로 RNA의 가능성을 믿고 연구에 몰두하고 mRNA 백신을 개발하기까지 수많은 멸시와 조롱을 견뎌낸 끝에 얻어낸 결과였다. 동료들조차도 “절대로 될 리가 없다”고 했던 일이 현실이 된 순간이었다.
‘돌파의 시간’은 헝가리의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난 그가 과학자를 꿈꾸던 어린 시절부터 미국과 독일로 떠나 연구를 이어가고, 노벨상을 수상한 현재까지의 일대기를 그린 회고록이다. 가난했던 유년기와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과학자로서 기초를 쌓은 경험, 미국에 건너온 후 소수자로서 겪었던 어려움,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와의 우연한 만남 등을 소개한다. mRNA 연구에 대한 집념, 인류에 기여하는 과학에 대한 믿음, 그리고 수많은 역경 가운데서도 그가 놓지 않았던 희망이 담겨 있다. 늘 연구에 매달려 있으면서도 사랑하는 이와 가정을 이루고 소중한 딸 수전을 사랑으로 키워낸 이야기도 간간이 들려 준다.
노벨상위원회는 지난해 10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면서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커리코 교수에 대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기반이 된 mRNA 연구의 선구자로, 미국에서만 300만명의 죽음을 막는 데 기여했다”고 찬사를 보냈다. 2020년 펜데믹 당시 독일의 바이오 기업 바이온테크의 부회장으로 mRNA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었던 커리코 교수는 코로나19 백신인 ‘코미나티주’를 화이자와 공동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코미타니주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접종된 mRNA 방식의 세계 첫 백신이기도 하다.
커리코 교수는 “2020년 한 해의 긴박함과 에너지를 이 책에 모두 담기는 불가능할 것 같다. 다만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것이 용기와 전문가적 결단력, 정확성이 필요한 실로 놀라운 과정이었다는 사실”이라며 “그해에 바이온텍이 화이자와 함께 성취한 것은 기적이나 다름없었다.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 헤아리지 못할 수많은 희생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커리코 교수가 과학자가 되고 연구를 이어오기까지 그의 삶은 고난과 역경의 연속이었다. 그는 공산주의 국가였던 헝가리의 농촌 지역인 솔노크에서도 TV, 냉장고가 없을 정도로 풍족하지 못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당연히 부모님은 과학에 문외한이었지만 어려서부터 호기심 많았고 포부도 야무졌다. 1973년 그는 헝가리 세개드대 생물학과에 입학했다. 첫 2년 동안 최고의 성적을 받았고, 3학년 때는 헝가리 인민공화국 학업 우수상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아버지가 공산당에 반기를 들어 체포된 이력이 있다는 이유로 정부 명단에서는 삭제되고 만다.
냉전이 아직 끝나지 않았던 1985년, 커리코 교수는 연구를 지속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하지만 미국으로 건너간 후에는 더 큰 역풍이 몰아쳤다. 첫 직장인 템플대 연구실에서 연구책임자로 만났던 미국의 생화학자 로버트 수하돌닉(1925∼2016)은 매우 강압적인 상사였다. 펜실베니아대(유펜)의 제안으로 이직하려고 하자 불같이 화를 내며 미국 정부에 그를 불법 체류자라고 허위신고까지 했다.
우여곡절 끝에 그는 펜실베니아대 교수로 임용됐지만, 연구비 조달이 원활하지 못하자 대학은 나가지 않으면 강등하겠다고 했고, 연구를 계속 하고자 했던 커리코 교수는 강등을 감수하면서까지 대학에 남았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유펜은 헝가리 출신의 여성 과학자인 커리코 교수를 못마땅하게 여겼고 2013년 그를 내쫓았다. 그렇게 커리코 교수는 17년을 몸 담았던 유펜을 떠나 독일의 바이온테크로 이직했다. 놀랍게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바이온테크에서 이뤄낸 성과다.
커리코 교수는 “과학의 핵심은 인류의 지식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꿈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나는 이미 좀 더 조용한 곳을 향한 끌림을 느낀다. 혼자 앉아 논문을 읽을 수 있는 시간. 그렇게 읽은 것들은 새로운 질문을 불러올 것이고, 그 질문은 새로운 실험을 낳을 것이다. 세상에는 아직 발견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62세 서정희, 유방암 극복하고 필라테스 대회 출전 - 매일경제
- 박지성 ‘작심 비판’ 이튿날…홍명보 공식 선임한 축구협회 - 매일경제
- 5선 중진 나경원, 한동훈에 훈수…“당권·대권, 둘 중 하나만 해야” - 매일경제
- “한국이 키웠으니 전세계가 인정”...영국인 5인조 보이그룹 나온다 - 매일경제
- “이병헌·기안84도 걸렸대”…스타들 투병 고백 후 ‘이 질환’ 진단율 9배↑ - 매일경제
- 김종인, ‘김여사 문자’ 논란에 “왜 그걸 한동훈에게 물어보나” - 매일경제
- 알몸으로 있는데 옆방 투숙객 문 벌컥…키 건넨 호텔은 나 몰라라 - 매일경제
- “아빠처럼 따랐는데”…초등생 아들 친구 성폭행·성착취물 200여개 만든 40대 - 매일경제
- 주차 차량 들이받은 70대男 “급발진” 주장…일가족 4명 부상·병원 이송 - 매일경제
- 미국 전문가 “최강 중국? 여자 단식은 안세영” [Paris D-14]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