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봉, 새 시집 ‘동동’에서 현실 초극하는 꿈의 언어 펼쳐

장재선 기자 2024. 7. 13. 13: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대봉 시인이 신작 시집 '동동'(현대시학 기획시인선·사진)의 맨 앞에 적은 글이다.

장자의 호접몽(胡蝶夢)을 떠올리게 하는 이 문구는 시집 곳곳에서 현실의 희로애락을 넘어서려는 꿈으로 작용한다.

그의 시는 현실 너머의 꿈을 몽유어(夢遊語)로 전하고 싶어 하는데, 그 밑바닥에는 세상을 여관으로 빌린 우리네의 노숙과도 같은 상황이 깊게 가라앉아 있다.

누구보다 현실의 악력을 아는 그가 '동동'을 통해 꿈의 언어를 한껏 풀어놓은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 꿈은 꿈 속에서도 계속되었다.//깨어있는 듯/깨어있다가도"

김대봉 시인이 신작 시집 ‘동동’(현대시학 기획시인선·사진)의 맨 앞에 적은 글이다. 장자의 호접몽(胡蝶夢)을 떠올리게 하는 이 문구는 시집 곳곳에서 현실의 희로애락을 넘어서려는 꿈으로 작용한다.

‘불빛 없는 작고 연한

전깃줄 모여 앉아

빠른 걸음 굴리며 긴긴밤 지새울 때

새 가슴

보일 듯 말 듯 고와라

나란히

나란히

- ‘동동’ 전문

표제시를 통해 시인이 ‘작고 연한’ 존재에 애정을 품고 있음을 헤아릴 수 있다. 각다귀 세상에서 애옥살이를 이어가야 하는 사람들과 전깃줄에 모여 앉은 새는 같은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흔히 ‘새 가슴’은 세상사에 짓눌려 두려워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인데, 여기서 새 가슴은 고울 뿐 더러 나란히 연대하는 대상이다.

언어 유희를 도저한 시의 미학으로 끌어오는 힘이 김대봉 시의 한 특징이다. 시조 형식으로 단시(短詩)의 압축미와 함께 운율의 쾌감을 한껏 전하는 것도 장점이다.

그의 시는 현실 너머의 꿈을 몽유어(夢遊語)로 전하고 싶어 하는데, 그 밑바닥에는 세상을 여관으로 빌린 우리네의 노숙과도 같은 상황이 깊게 가라앉아 있다.

지하도 한편 속삭임

달빛 밝아 굳어진다

신문지 한 장 덮어쓰고 툭, 터진 꿈 꾸면

말 온통

피워 올리는

입맞춤

비밀 있다

- ‘밤새 화석’ 전문

김 시인은 현실 세상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하며 비의(秘意)를 전하는 심안(心眼)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그는 공무원연금공단 제주지사장을 지낸 후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얻어 병원에서 2년 여 간호 업무를 담당했다고 한다. 대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위원 직함으로 활동을 하기도 했다.

누구보다 현실의 악력을 아는 그가 ’동동’을 통해 꿈의 언어를 한껏 풀어놓은 것이다. 시집을 읽고 있으면, 김대봉 시만이 지닌 미감에 젖어서 현재의 비루를 잘 견딜 수 있을 것만 같다. 취생몽사(醉生夢死), 몽생취사(醉生夢死)! 이 지극한 소망을 그의 시 세상에서 이룰 수 있다.

장재선 전임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