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1만원 시대…"이제 한계다" 곳곳서 '악소리'
내년 170원 올라 1만30원으로 결정
근로자 301만명 영향…5년간 27.8% 인상
소상공인들 "한계 상황 직면했는데 치명타"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시간당 170원(1.7%) 오른 1만30원으로 결정됐다. 1988년 최저임금 제도를 시행한 이후 처음으로 1만원 시대가 열린 것이다. 내년 인상률 1.7%는 2021년(1.5%) 후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하지만 숙박·음식업 등 일부 업종에서 최저임금을 지키지 못하는 비율(미만율)이 4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내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많게는 300만 명의 근로자 임금이 일제히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계 상황에 직면한 소상공인은 이번 최저임금 인상으로 경영 압박이 가중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저임금위원회는 12일 열린 11차 전원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시급 1만30원으로 정했다.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급 환산액은 209만6270원(주 40시간, 월 209시간 근무 기준)이다.
이날 회의 종료 후 고용노동부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받는 근로자가 고용 형태별 근로 실태 조사 기준으로 47만9000명(영향률 2.8%), 경제활동인구 부가 조사 기준으로 301만1000명(영향률 13.7%)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많게는 근로자 7명 중 1명이 내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급여가 자동으로 올라간다는 뜻이다. 이들 근로자가 대부분 소속된 영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처럼 영향률이 비정상적으로 커진 것은 그동안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오른 후유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작년까지 전체 산업의 명목임금이 17.2%, 물가가 12.6% 오르는 동안 최저임금은 27.8% 상승했다. 주휴수당 지급 대상인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 기준으로는 인상률이 53.3%에 달한다. 반면 같은 기간 전 산업 노동생산성은 1.3%,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0.4% 하락했다.
이러다 보니 최저임금은 ‘지킬 수 없는 임금’이 됐다. 숙박·음식점업의 최저임금 미만율은 지난해 37.3%, 주휴수당을 감안한 5인 미만 사업장의 최저임금 미만율은 49.4%로 추산된다. 두 곳 중 절반은 최저임금을 주기 어려운 한계 상태라는 의미다. 숙박·음식점업의중위임금(시급 1만961원) 대비 최저임금 수준도 87.8%에 달해 적정 수준의 상한으로 여겨지는 60%를 웃돌았다.
노·사 합의 없는 합의체…최저임금위원도 "시스템 한계 왔다"
이미 일본 제치고 아시아 최고…세후 최저임금은 세계 최고 수준
내년도 최저임금이 사상 처음으로 시간당 1만원을 넘어서면서 한국은 내년에도 일본을 제치고 아시아에서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될 전망이다. 올해 최저임금(9860원)은 전년 대비 2.5% 올라 일본에서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도쿄의 최저임금(1113엔·약 9510원)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일본은 업종별은 물론이고 지역별로도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하고 있다.
○세후 최저임금, 세계 최고 수준
일본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심의 중이다. 일본 노동계는 평균 50엔(약 430원)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노동계 주장을 전폭 수용해도 내년도 도쿄 최저임금은 9940원에 그쳐 한국보다 낮을 전망이다.
한국의 최저임금은 세계적으로도 높다. 임금 대비 최저임금 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 쓰이는 ‘중위소득 대비 최저임금 비율’은 지난해 65.8%로, 글로벌 적정 수준인 60%를 웃돌았다. 주요 7개국(G7)의 작년 평균은 52.0%다. 2022년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G7 국가보다 적었지만 최저임금 연환산 금액은 네 번째로 많았다. 소득세와 사회보험부담액을 제외한 ‘세후’ 최저임금은 영국을 제외하고 두 번째로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최저임금위원회는 12일 새벽 내년도 최저임금을 흥정하듯 결정했다. 지난 9일 전원회의에서 최초 요구안으로 27.8% 인상안을 제시한 노동계와 동결을 요구한 경영계는 이날 5차 수정안까지 내놓았다. 최종적으로 근로자위원이 제시한 1만120원, 사용자위원이 제시한 1만30원을 놓고 표결에 부쳤다. 반발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추천 근로자위원 4명이 표결 직전 회의장을 떠나면서 사용자위원 안은 14표, 근로자위원 안은 9표를 받아 최저임금이 결정됐다.
과거 고성장 호황기에는 이런 최저임금 결정 시스템이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았다. 임금 상승률이 최저임금 인상률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성장 시대가 본격화한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최저임금을 가파르게 끌어올리면서 사회 곳곳에서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미 적지 않은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이 법으로 정한 최저임금을 주지 못하고 있다.
○최저임금위원조차 “이대로는 안 돼”
내년 최저임금 1만원 시대를 맞아 비효율적인 최저임금 결정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1988년 국내에 최저임금제도가 시행된 지 36년이 지났지만 객관적 경제 지표를 고려한 합리적 기준 없이 근로자와 사용자, 공익위원들이 최저임금을 ‘합의 결정’하는 근본 틀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런 구조 탓에 매년 조직 논리에 따라 시위성 퇴장이 반복되며 졸속으로 최저임금이 결정된다. 업종별로 임금 지급능력과 생산성이 다른데도 획일적으로 최저임금이 인상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정보기술(IT) 혁신 등으로 산업구조가 급변하고 새로운 유형의 노동 형태가 등장했음에도 산업화 시대 공장 노동을 기준으로 한 시급 형식 최저임금 제도가 지속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도 많다. 양대 노총이 추천권을 독점하는 근로자위원 선정 규정도 청년·비정규직이 진입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인재 최저임금위원장과 권순원 최저임금위 간사는 12일 새벽 최저임금 관련 브리핑에서 “의사결정 시스템 자체가 한계에 이르렀다”며 “최저임금 결정 체계가 이대로여선 안 된다”고 했다. 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는 “현행 제도하에선 지금도 지키기 어려운 최저임금을 매년 조금씩 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무송 대한산업안전협회장은 “정부가 객관적인 최저임금 결정 기준을 마련하고 독립위원회나 전문가그룹이 최저임금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봐야 한다”고 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시경도 무시당했는데…"진짜 예쁘다" 대반전 일어났다
- "브라질 '국민차' 됐다"…불티나게 팔린 한국 車
- "알바생 자르고 16시간 일하는데…" 편의점 점주 '불만 폭발'
- "이러다 큰일 난다" 발칵…'핫플' 성수역에 무슨 일이
- "엔비디아 잘 먹고 갑니다" 돌변한 개미들…이 주식 사들였다
- "쯔양 과거 지켜주려고…" 구제역, 결국 공개 사과
- 김구라 아들 그리 "외할머니 병원비 月 300만원씩 지원"
- 박지성도 입 열었다…"정몽규·홍명보 결단해야"
- "아이돌 아니에요?"…잘 나가던 '제국의 아이들' 멤버 깜짝 근황
- "생각보다 구하기 쉽네"…'두바이초콜릿' 쫙 깔린 비결은 [양지윤의 왓츠in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