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 항암제 허셉틴 복제약 중국 시판허가 획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알테오젠이 항암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로 개발해 중국 치루제약(Qilu Pharmaceutical)에 기술 수출한 ALT-L2가 중국에서 품목 허가를 취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기술을 사들인 치루제약이 중국에서 2022년 임상 3상을 거쳐 지난해 4월에는 품목 허가를 신청해, 올해 7월 품목 허가를 취득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테오젠이 항암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로 개발해 중국 치루제약(Qilu Pharmaceutical)에 기술 수출한 ALT-L2가 중국에서 품목 허가를 취득했다고 12일 밝혔다.
ALT-L2는 알테오젠의 초창기 파이프라인 중 하나다. 이 기술을 사들인 치루제약이 중국에서 2022년 임상 3상을 거쳐 지난해 4월에는 품목 허가를 신청해, 올해 7월 품목 허가를 취득한 것이다. 알테오젠은 지난 2016년 자체적으로 진행한 캐나다 임상 1상은 성공적이었으나, 세계 시장의 경쟁이 심화해 자체 개발을 중단했고,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한 치루 제약과 협상해 2017년 기술을 수출했다.
알테오젠 관계자는 “임상 3상이라는 큰 시험을 마치고, 품목 허가를 받은 파트너사의 성공에 축하를 보낸다”며 “알테오젠이 개발한 아일리아와 허셉틴 두 가지 바이오시밀러 품목이 각각 품목 허가를 신청하고, 허가를 받는 등 연구 개발의 결실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테오젠은 “첫 자체 품목인 테르가제의 시판,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술이 사용된 피하제형 치료제들이 상업화되면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리지널 의약품 허셉틴(트라스투주맙)은 전이성·조기 유방암과 전이성 위암 치료 등에 쓰이는 글로벌 제약사 로슈의 표적 항암제다. 특허 만료 이후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쟁이 치열해졌고, 지난 2017년 12월 이후 마일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화이자, 암젠 등이 개발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가 잇따라 미국에서 품목허가를 받아 출시됐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25년에 인력 40% 줄어”… 전기차 부진에 빗나간 현대차 예측
- [르포] 3개월 만에 거래량 반토막 났다…서부권 지식산업센터 현장 가보니 ‘텅텅’
- “美 배당주 세금 폭탄?”… 섹션899 공포에 韓 배당주로 선회하는 개미들
- [르포] 종로 5가 약국 거리 ‘흥정의 기술’... “다른 약국은 더 싸던데” “그럼 얼마에 드릴까
- 마포·양천 아파트값, ‘급등기’ 전고점 돌파…서울 전역 ‘들썩’
- [세종풍향계] ‘출세 코스’는 옛말?… 국정기획위 차출 눈치 보는 공무원들
- ‘11조 공룡’이라 인수 후보 못찾는 카카오엔터... 분할 매각도 어려워
- 李 대통령, 장남 결혼식에 ‘오리엔트 시계 소년공’ 친구들 초대
- [Why] BBQ가 100억원 들여 FC바르셀로나를 초청한 이유는
- 금리 하락 속 ‘영끌’ 열풍...부동산·주식·코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