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생각] 교사에게도 학생인권이 필요한 까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00년대 들어서도 두발 단속에 걸린 학생들의 머리카락이 잘리고, 폭언과 체벌 역시 교육으로 용인됐다.
이런 위기에 직면한 이유 중 하나는 "정확한 정보와 정당한 평가가 공유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 청소년인권운동 활동가 공현과 대구·경남 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에 참여해 온 교사 진냥이 조례가 만들어진 배경과 역사, 조례를 둘러싼 오해와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교를 바꾼 인권 선언
학생인권조례의 거의 모든 것
공현·진냥 지음 l 교육공동체벗l 1만4000원
2000년대 들어서도 두발 단속에 걸린 학생들의 머리카락이 잘리고, 폭언과 체벌 역시 교육으로 용인됐다. 두발 규제에 대한 반대 여론은 학교 담장을 넘어 인터넷을 통해 2000년 ‘노컷(no-cut) 운동’으로 한데 묶였다. 청소년인권운동의 시작이다. 그 이후 체벌이나 폭언, 소지품 검사·압수, 특정 종교 행사 참여 강요 등 당연하던 일들이 바뀌어야 할 문제가 됐다. 학생 인권을 조례로 보장하자는 운동은, 2010년 경기도를 시작으로 광주·서울(2012년), 전북(2013년), 충남(2020년), 제주(2021년) 등 6곳의 학생인권조례 제정으로 이어졌다.
최근 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하거나 후퇴시키려는 움직임이 어느 때보다 거세다. 이런 위기에 직면한 이유 중 하나는 “정확한 정보와 정당한 평가가 공유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 청소년인권운동 활동가 공현과 대구·경남 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에 참여해 온 교사 진냥이 조례가 만들어진 배경과 역사, 조례를 둘러싼 오해와 질문에 대한 답을 정리했다.
“학생 권리만 강조해 교사 권리를 약화시켰다”는 흔한 논리의 근거는 빈약하다. 2016~2019년 학생인권조례가 있던 4개 지역 중 3곳에서 같은 기간 교권 침해 사례는 되레 줄었다. 한 교사는 조례 폐지에 반대하며 이렇게 말했다.
“학생들의 의복·두발이 자유로워야 하는 것처럼 저 또한 생김새, 머리 색에 따라 평가받지 않고 일할 수 있었습니다. 학교는 여러 권력 관계가 촘촘한 공간이기에, 서로의 권리를 인식하는 것이 권력 관계를 들여다보는 출발점이 됨을 배웠습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명품백·채상병 수사·댓글팀 의혹…야 ‘김건희 게이트’ 정조준
- 내년 최저임금 1만30원…역대 두번째 낮은 1.7% 인상
- “미 핵자산으로 북핵 대응” 한-미 정상 첫 명문화
- 바이든, 젤렌스키에 “푸틴 대통령” 또 실수…여론조사 67% “사퇴해야”
- ‘우산 챙기세요’…폭염 속 전국 곳곳에 소나기
- 나경원 “한동훈, 탄핵 미끼 던지며 대통령 협박하는 듯”
- “빅5 출신이 맹장 수술 못하기도…전공의 수련 개선해야”
- 천공보다 센 신공이 나타났다 [세상읽기]
- 엄마는 목만 내민 채 “죽어, 오지 마”...아들은 헤엄쳐 ‘파도’ 넘었다
- 아직 오지 않은 포퓰리즘 [박권일의 다이내믹 도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