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작은마을에 젊은층 몰려드는 이유?…“인구소멸 해법은 역시 기업투자”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2024. 7. 11. 21: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구증가 지방도시 전국 23곳
19개 도시선 고용률 함께 뛰어
기업 투자 몰린 광양 중마동
인구 6만명 육박 ‘전국 최다’
100대 기업 하나도 없는 부산
작년 1만명 일자리 찾아 떠나
광양시청 전경 [사진 = 광양시청]
전남 광양시 중마동 행정을 책임지는 공무원들은 요즘 눈코 뜰새없이 바쁘다. 광양으로 정착하는 인구가 많아지며 주민들에게 행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쉴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중마동 공무원 1인당 담당 주민수는 2185명에 달한다. 전국 평균(1122명)보다 2배 가까이 많다. 이에 광양시는 최근 중마동을 나누는 ‘분동’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민의견 수렴을 통해 거주민 대다수가 분동에 찬성한다는 점을 확인한 광양시는 구체적인 계획 마련에 나섰다. 광양시 관계자는 “중마동 인구는 5만8000명에 육박하고 전국 행정동 중에선 최고 수준으로 많아 행정과 복지 서비스 효율이 낮다”며 “9월까지 분동 계획을 도출한 뒤 내년엔 조례를 바꿔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고 했다.

광양시가 인구 증가에 따른 행정력 고민을 하고 있는 배경에는 일자리가 자리잡고 있다. 지역 전통산업인 제철산업 뿐 아니라 차세대 먹거리로 떠오른 2차전지 산업을 비롯한 투자 유치에도 성공하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구 유입이 계속되는 것이다.

저출생과 수도권 인구집중으로 지방도시 대부분이 소멸 위기를 마주하고 있는 가운데 인구가 오히려 늘어나는 도시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도시들은 기업과 투자 유치를 통해 지역 일자리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청년들을 끌어들여 활력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구감소지역 투자 기업에 대해 법인세 감면을 비롯한 지원을 확대해 투자유치를 이끌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결국 인구유입의 비결은 일자리인데, 기업과 투자를 끌어들여 고용을 창출한 도시로 청년들이 옮겨가고 있어서다.

11일 행정안전부·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기준 수도권과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124개 기초지방자치단체중 10년 전보다 인구가 늘어난 곳은 23곳으로 나타났다. 충남 천안·아산, 충북 청주처럼 수도권에 인접한 충청권 9개 시군과 제주·서귀포 같은 관광도시는 물론 전남 나주, 광양과 강원 원주도 포함됐다.

인구증가 지역들의 특징은 같은 기간 고용률 역시 상승했다는 점이다. 지난해말 기준 23개 지자체중 19곳이 10년전보다 고용률이 최대 10%포인트 넘게 올랐다. 다소 하락한 지역 역시 강원 횡성(68.3%)처럼 60% 중반을 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전기강판공장 [사진 = 포스코홀딩스]
특히 광양은 2013년 57.2%에 불과했던 고용률이 지난해말 기준 68.1%로 10.9%포인트나 뛰었다. 비결은 적극적인 유치 공세로 기업 투자를 끌어왔다는 점이다. 광양 국가산업단지내 자리잡은 포스코는 광양 동호안 부지에 4조4000억원의 투자를 검토하는 것을 포함해 광양과 그 일대에 10조원 넘는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제철뿐 아니라 2차전지를 포함한 신산업 육성의 거점으로 광양을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일자리가 생기다보니 청년들도 광양으로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꾸준한 인구 증가가 이뤄지고 있는데, 특히 직전 2년간 만 27~34세 청년 1495명이 광양에서 새 둥지를 틀었다. 인구 15만명의 도시에서 1%가 외지 청년들이란 뜻이다. 광양시 인구정책팀장은 “기업 투자유치와 이와 연계된 일자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주거 지원에도 힘을 쓰고 있다”며 “일자리를 찾는 청년들이 광양에 정착하며 전남에서 가장 젊은 도시가 됐다”고 말했다.

충북 청주도 활력을 되찾고 있다. 2014년 청원군과 통합으로 지역 거점이 될 기초체력을 확보한 청주는 오송생명과학단지를 비롯해 신성장산업 앵커기업들이 자리잡고 있다. 청주는 지난 10년간 인구증가율 평균 0.43%로 전국 평균(0.1%)의 4배를 웃돌았다. 청주시는 2040년까지 인구 100만명 달성을 목표로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쏟고 있다. 이밖에 삼성디스플레이·현대자동차 생산공장을 품은 충남 아산, 혁신산단을 구축한 전남 나주도 일자리를 통해 전국적인 지방 소멸 추세를 거스르고 있다.

태백시청 전경 [사진 = 태백시청]
반면 주요 산업을 쇠퇴하며 급격한 쇄락을 겪는 도시도 눈에 띈다. 강원 태백은 2014년 6월 약 4만8000명이던 인구가 지난달 기준 3만8000여명으로 감소했다. 10년새 전체 인구의 21%가 넘게 줄어든 것이다. 지역 먹거리인 탄광산업이 사양길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태백시는 기피시설인 교정시설까지 유치하며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일자리 마련이 없이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광역시 중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부산도 상황은 비슷하다. 올해 초 동남지방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작년 부산에서 순유출된 1만1432명중 9939명은 일자리를 찾아서 부산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중 제2의 도시 부산에 자리한 기업은 28곳으로 2008년(55곳)의 절반에 그친다. 100대 기업으로 범위를 좁히면 부산 소재 기업은 3년 연속 한 곳도 없는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인구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일자리 확보를 위한 발전 전략과 이를 위한 지원이 필수라고 본다.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착해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이라며 “인구 문제 해결은 수도권 집중 완화보다는 지방의 안정적 일자리 확보에 보다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섭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기업의 투자나 유치에 대해 소득세·법인세를 감면하는 사항이 없다”며 “기존의 통합투자세액공제,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을 지역별로 차등화해 인구감소지역내 기업에 대해 혜택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