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에너지 누적수주 '362억달러'…"원전 시장서 공간 확보 가능"

김동규 기자 2024. 7. 11. 16: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그린에너지(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해외 누적 수주 실적이 올해까지 362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원전·수소 등에서 더 큰 수주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해외건설협회는 국토교통부가 서울에서 연 '해외건설 수주 플랫폼' 간담회에서 한국의 올해 6월까지 그린에너지 누적 수주실적이 362억 달러(49조 9632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부 해외건설 수주 플랫폼 간담회
국토교통부가 11일 서울에서 연 해외건설 수주플랫폼 간담회 모습.(국토교통부 제공)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한국의 그린에너지(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해외 누적 수주 실적이 올해까지 362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원전·수소 등에서 더 큰 수주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해외건설협회는 국토교통부가 서울에서 연 ‘해외건설 수주 플랫폼’ 간담회에서 한국의 올해 6월까지 그린에너지 누적 수주실적이 362억 달러(49조 9632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해외건설 수주 누계 9794억 달러의 3.7%에 해당하는 수치다.

협회는 글로벌 탄소제로 정책과, 금융권 등의 석탄화력발전소 신설에 대한 재정지원 중단, 기업의 ESG 경영, 기후변화 대응 정책 등에 따라 그린에너지 사업에 대한 투자와 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한국 기업은 원자력 사업 이외에도 청정 수소개발 사업, 태양광 민자발전 사업 등 그린에너지 시장에서 수주활동을 확대 중이다.

협회 관계자는 “사우디, UAE, 중동,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수소·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사업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한국 건설사의 참여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원전에서는 매년 성과를 얻기는 어렵지만 지난 2009년 UAE원전, 2010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2022년 이집트 원전, 2023년 루마니아 삼중수소 등의 사업을 수주해 오고 있다.

이호무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후정책연구본부장은 간담회에서 세계 주요국들이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했다면서 한국 기업이 원전 등 그린에너지 시장에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전 세계 인구, GDP,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내외를 차지하는 130개국 이상의 정부가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했고 민간 부문에서도 RE100, 탄소공개프로젝트(CDP) 등 이니셔티브로 자발적 탄소중립이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린에너지 투자가 화석연료 투자를 상회하고 있고 전력 부문에서 격차가 더욱 뚜렷하다”며 “선진국과 중국이 관련 지출을 주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탄소중립 에너지의 중심인 무탄소 전력 생산이 2050년까지 2022년 대비 7배 이상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본부장은 “이런 상황 속에서 원전 시장에서 한국의 산업을 위한 공간이 확보할 수 있고 수요 수소 수입국으로서의 입지도 활용할 수 있다”며 “생산과 송·배전과 같은 기타 전력 인프라 분야에서 기회도 모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토교통부 해외건설 수주지원단은 발표를 통해 올해 상반기 주요 성과와 하반기 계획에 관해 설명했다.

지원단은 올해 2월에 이라크에서 비스마야 신도시 재개 등을 지원했고, 향후 15개 신도시 개발 등 참여 협력에 나섰다. 철도·도로망과 관련해서도 이라크 재건을 위한 170달러 규모의 프로젝트에 한국기업의 참여를 요청했다.

같은 달에는 UAE에서 아부다비 내 인프라 분야에 한국기업의 스마트기술 도입 논의, 아부다비-두바이 간 고속철도 사업 참여 협의 등에 나섰다. 이후 6월에는 우즈베키스탄에 한국형 고속철 첫 수출을 지원했고, 파나마와 모로코 등지에도 지원단이 파견돼 한국 기업의 여러 사업 참여 협력을 요청했다.

향후 지원단은 7월 베트남에서 철도, 신공항 등 인프라 사업 협의 후 중동, 아시아, 유럽, 우크라이나 등지에서도 수주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d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