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1위 할 때 인텔 추락한 이유는?…'협력부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과 주관한 2024 CEO제주 하계포럼의 둘째날 고려대 신창환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첨단 반도체 기술과 반도체 산업 지형 변화'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한 말이다.
신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기술 경쟁이 이뤄지는 시기, '폐쇄적 연구개발'보다는 공동연구를 통한 기술 개발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자개발 중심 둔 인텔은 뒤처지고, 오픈 이노베이션 TSMC '우뚝'
2차 반도체 격변기, '칩렛' 주도권 잡아야
취약한 소·부·장에 직접 지원금 지원 필요
"같이 협력하지 않으면 1등도 내려간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과 주관한 2024 CEO제주 하계포럼의 둘째날 고려대 신창환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첨단 반도체 기술과 반도체 산업 지형 변화'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한 말이다.
신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기술 경쟁이 이뤄지는 시기, '폐쇄적 연구개발'보다는 공동연구를 통한 기술 개발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거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TSMC가 파운드리 1위 기업으로 성장한 반면, 인텔은 첨단 기술을 만들지 못해 뒤처지게 된 이유로 '협력의 부재'를 꼽았다.
신 교수는 "이미 2010년 초반부터 제조 공정 기술에 대한 R&D 지출은 크게 낮춰져 있었고 인텔은 독자적으로 연구개발에 뛰어들기 시작한다. TSMC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통해서 여러 팹리스 기업들을 자기 우군으로 만들고 반도체 동맹을 결성해서 빠르게 성장해왔다"고 비교했다.
이어 "그 결과가 2020년대 TSMC 1등, 인텔의 몰락 이렇게 나오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현재 반도체 기술 개발과 관련해서는 미중 패권전쟁으로 국가 간 협업이 중단되면서 기술 혁신이 중단됐다고 평가했다.
신 교수는 "미중 경쟁 때문에 중국과 미국의 협력은 없다. 각자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라 기술 혁신이 멈춰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술 혁신 없는 통제는 성공할 수 없다. 그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도체 분야에서의 주도권… 이제는 '칩렛'이다
칩렛은 이종집적기술로 칩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 같은 시스템 반도체와 D램 메모리 등 서로 다른(이종) 반도체를 마치 하나의 반도체인 것처럼 연결하는 차세대 반도체 제조 기술이다. 신 교수는 "칩렛 기술과 관련된 기업들이 굉장히 빠른 급성장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 교수는 곧 반도체의 2차 격변기가 다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거 1980년대 반도체 전쟁과 이후 침체를 1차 격변기라고 한다면 현재는 '정체기'인데 곧 다가올 2차 격변기에서 혁신을 위한 주도권 잡는 게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 교수는 "앞으로는 팹리스만 잘하는 곳보다 첨단패키징과 팹리스를 같이 잘하는 기업들이 반도체 시장의 강자가 될 것"이라면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취약한 '소·부·장' 을 더욱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소재와 장비 등의 인프라를 더 키울 수 있도록 직접 보조금을 줬으면 좋겠다"고도 강조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서귀포=CBS노컷뉴스 조태임 기자 jogiza@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쯔양 "前남친이 불법촬영·폭행…40억 뜯겼다"
- 4일 동안 여아 19차례 성추행…80대 남성 '징역 5년 선고'
- '동물학대 논란 유튜버' 갑수목장, 동물병원 개원했다?[댕댕냥냥]
- 이재명 연임 '반대' 51%…'與 당권' 한동훈 27% 나경원 10%
- 윤희근 "채 상병 수사팀 판단 신뢰…심의위 명단 공개 불가"
- 서울 아파트값 0.24%↑…5년 10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
- 세계 최초 레이저무기 실전배치 하나…'한국형 스타워즈' 첫 삽
- '96억 비자금 조성 의혹' 한컴 김상철 회장 차남 '징역 3년' 선고
- 법무부, '삼성합병 손해 443억원 배상' 중재 판정 불복…소송 제기
- 복지부 "병상 과잉 지역, 2027년까지 더 늘리지 말라"